푸치니의 대형 오페라 ‘라보엠’ 첨단 영상을 더해 실감형 오페라로 재탄생
관객과 무대가 하나가 돼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연출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통한 오페라의 새로운 방향 제시
라보엠 프로덕션은 전통적인 프로시니엄 무대 틀에서 벗어나 객석까지 확장된 형태의 무대 구성을 통해 관객이 극 안으로 빠져드는 효과를 구현해 보는 감동을 더하고, 오페라의 관객 진입 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제작 의도를 밝혔다.
10월 6일(금) 장흥문화예술회관을 시작으로 10월 13일(금)~14일(토) 광주시 남한산성아트홀, 10월 20일(금)~21일(토) 순천문화예술회관 무대에 올려지는 푸치니의 오페라 ‘라보엠’은 광주시문화재단(대표: 오세영)을 대표기관으로 순천문화예술회관(관장: 정은경), 장흥문화예술회관(장흥군수: 김성) 등 3개 기관과 제작사 할마씨네토끼(대표: 장길황)가 참여해 공동으로 제작하는 공연이다.
오늘날 푸치니의 ‘라보엠’은 그의 또 다른 작품 ‘나비부인’,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비제의 ‘카르멘’ 등과 함께 세계 오페라극장의 흥행을 이끄는 흥행작이다. 모든 오페라 레퍼토리 중 가장 널리 공연되는 작품이며, 전 세계 오페라극장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무대에 올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1994년 뮤지컬 ‘렌트’로 만들어졌으며, 가난하지만 자유분방한 기질의 재능 있는 젊은이들의 삶 속 이야기는 수많은 소설과 영화, TV 드라마에 영감을 줬다.
모든 성악가의 꿈의 무대인 뉴욕메트로폴리탄을 비롯한 유럽의 주요 오페라 극장에서도 주역으로 큰 활약을 펼치고 있는 테너 신상근,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유럽 유수의 오페라극장 주역 테너 김효종, 정명훈 지휘자가 선택한 프리마돈나로 국내외 무대에서 그와 함께 많은 공연을 펼쳤던 소프라노 윤정난 등 한국을 대표하는 정상급 성악가와 국내 최고의 오페라 전문지휘자 김덕기가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호흡을 맞추고, 참신한 아이디어로 한국오페라 여성연출가 그룹 중 선두로 인정받는 양수연이 연출을 맡았다.
정통 오페라와 첨단 컬처 테크놀로지(Culture Technology)의 결합을 통한 연출로 과거의 오페라가 엔터테인먼트로서 기능했듯 다시 한번 쇼 비지니스(Show Business)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관객과 무대가 하나가 돼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연출을 통해 새로운 시대와 세대에 걸맞는 소구력 높은 오페라의 탄생이 기대된다.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소개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코카카·KoCACA)는 문화예술회관 상호 간 협력 증진과 문화 예술 진흥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유관 기관으로, 전국 225개 문예회관이 회원 기관으로 소속돼 있다. 전국 문예회관의 균형 발전 및 활성화를 통해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공연·전시·교육·페스티벌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첨부자료:
출연자 및 주요 제작진 소개.docx
2023 오페라 라보엠 보도자료 (1차).docx
웹사이트: http://www.kocaca.or.kr
연락처
2023 라보엠 추진본부
기획홍보실
박세아 실장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