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언, 전자 폐기물과 탄소 발자국 줄이기 위해 재활용 가능한 PCB 도입
천연 섬유로 만들어진 솔루보드의 식물 기반 PCB는 기존 유리 기반 섬유보다 탄소 발자국이 훨씬 작다. 이 유기 구조를 무독성 폴리머로 감싼다. 이것을 뜨거운 물에 담그면 용해되고, 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물질만 남는다. 따라서 PCB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드에 솔더링된 전자 부품들을 회수해서 재활용할 수 있다. 인피니언은 데모 보드와 평가 보드에 솔루보드를 사용해 전자 산업에서 지속 가능성을 검증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인피니언 친환경 산업용 전력 사업부의 안드레아스 콥(Andreas Kopp) 디스크리트 제품 관리 책임자는 “처음으로 컨슈머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전자 제품 설계에 재활용 가능한 생분해성 PCB 소재를 사용하게 됐다. 인피니언은 수명이 다한 디스크리트 전력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이는 전자 산업에서 순환 경제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바 매터리얼스의 공동 설립자 조너선 스완스턴(Jonathan Swanston) 최고 경영자(CEO)는 “수성(water-based) 리사이클링 프로세스를 사용하면 귀중한 금속을 더 많이 회수할 수 있다. 또 FR-4 PCB 소재를 솔루보드로 대체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60%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1㎡의 PCB 당 10.5㎏의 탄소와 620g의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인피니언은 데모 보드와 평가 보드에 이 생분해성 소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모든 보드에 이 소재를 쓰는 가능성도 탐색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전자 산업을 좀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인피니언은 유럽 위원회의 ‘그린 딜’ 정책을 따르고 있다. 이 정책은 순환성(circularity)을 우리 생활의 대세로 만들고 유럽 연합(EU) 경제의 ‘녹색화(greening)’를 가속해 2050년까지 기후 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인피니언은 EU의 전기·전자 장비 폐기물(WEEE) 규정에 따라서 자사가 제조한 전자 제품의 책임 있는 수거와 리사이클링을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피니언은 솔루보드 기술을 사용해서 3가지 데모 보드를 제작했으며, 앞으로 몇 년에 걸쳐 이런 보드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인피니언은 이미 500개 이상의 보드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따라서, 솔루보드에서 회수한 전력 반도체의 재사용 및 재활용에 관한 지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품의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을 것이다.
지바 매터리얼스와 솔루보드에 관한 정보는 지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인피니언 소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전력 시스템 및 사물 인터넷(IoT) 분야의 글로벌 반도체 리더다. 인피니언의 제품 및 솔루션은 탈탄소화 및 디지털화를 선도한다. 2022년 회계연도(9월 30일 마감) 기준 전 세계 약 5만6200명의 직원과 함께 142억유로 매출을 달성했다. 인피니언은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거래 심볼: IFX)와 미국 장외 시장 OTCQX International Premier(거래 심볼: IFNNY)에 등록돼 있다.
지바 매터리얼스, 솔루보드에 관한 정보: https://www.jivamaterials.com/about/
웹사이트: http://www.infineon.com
연락처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코리아
박은진 부장
02-3460-0814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