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곤충자원 산업화 방안 연구 보고회 개최
동 연구는 제주도의 전략산업인 관광산업과 건강·뷰티생물산업을 곤충자원과 연계하여 육성·발전시키기 위한 연구보고서로서, 국내외 곤충자원의 산업화 현황을 분석하여 제주도의 곤충자원을 활용한 산업화 전략 및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제주에 적합한 중점사업을 발굴 제시하고자 하였다.
곤충은 세대수가 짧고 다양한 형질을 지내고 있어 타 생물자원에 비하여 시간적·경제적 측면에서 유용자원화·산업화 가능성이 높음에도 유전학, 분자생물학, 농학, 생태학 등의 생명공학분야에 주 연구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 화학, 재료, 생체기능모방, 식약품, 유전 및 미생물, 환경지표, 천적, 문화관광자원 등에 활용함.
국내에서는 관련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곤충자원의 산업화 추진은 단기적으로 관광과 연계된 곤충생태공원(Insect Park)조성 및 정서 애완곤충 산업화 연구, 장기적으로는 곤충의 기능성 및 유용물질 소재를 활용한 산업화 방안을 연구하여 부존자원을 타 지자체보다 선점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제안된 중점 추진 세부사업으로서는 ① 곤충생태관광분야에 제주곤충생태공원 (Jeju Insect Park) 조성 사업, 기존 축제와 연계하는 곤충축제 사업, 곤충 테마마을 조성 사업 등이 제시되었고 ② 1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BT산업 분야에서는 곤충자원 및 곤충유래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향장품,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소재), 곤충의 생체공장화 사업, 고부가가치 자원개발 사업, 연구용 곤충자원개발 사업 등이 ③ 기초연구 및 인력양성 분야에서는 제주 유용 곤충자원 탐색 및 정보구축 및 생물종다양성 인력양성 사업 등이 제시되었다.
제주도와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은 본 연구보고서를 기반으로 하여 2006년도 중점 추진사업으로서 ① 제주 곤충 생태테마파크 유치 기반조성 ② 제주도 유용곤충자원 탐색 및 정보 구축 ③ 곤충 유용유전자 및 활성물질 탐색 ④ 생물종다양성 생태전시관 구축 ⑤ 외래 나비종의 생태계 위해성 검증사업 등을 잠정 선정하였고,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산·학·연 공동프로젝트로서 본격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자세한사항은 (재)이테크산업진흥원 홈페이지(http://jejuhidi.or.kr) 아래의 연구보고회 자료를 받아 보실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개요
제주특별자치도청은 60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원희룡 지사가 이끌고 있다. 원희룡 지사는 아픔을 치유하고 과거를 넘어서는 제주, 안전하고 모두가 누리는 제주, 미래세대를 위해 가꾸고 키우는 제주를 공약실천계획으로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jeju.go.kr
연락처
미래산업과/하이테크산업진흥원담 당 자 생물산업담당/김창숙 박사연락전화 710-2561/724-5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