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 “대퇴사 시대에 임직원의 중요한 업무 능력으로 호기심 주목”
SAS, 전 세계 기업 관리자 대상 설문조사 및 링크드인 데이터 기반의 임직원의 ‘호기심’에 대한 보고서 발표
임직원 유지, 업무 만족도 개선, 생산적인 일터 조성을 위해 임직원의 ‘호기심’ 강조
세계적인 분석 선두기업 SAS는 전 세계 약 2000명의 기업 내 관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구인구직 플랫폼 링크드인(LinkedIn)의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SAS 큐리아서티@워크 보고서(SAS Curiosity@Work Report)’를 통해 발표했다. SAS 큐리아서티@워크 보고서는 호기심을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탐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굴하고 싶은 욕구로 정의하면서, 기업 내 임직원의 역할이나 지위에 상관없이 호기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임직원의 호기심이 실제로 비즈니스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기업 내 관리자 중 약 4분의 3(72%)이 호기심을 임직원의 매우 중요한 성격적 특성이라고 답하는 한편, 절반 이상은 호기심이 실제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며(59%), 호기심이 더 많은 직원이 더 높은 성과를 낸다(51%)고 응답했다.
또한 SAS가 링크드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호기심을 언급한 게시물·공유·포스팅 참여가 158% 증가하고 △호기심을 언급한 구인 광고가 90% 증가했으며 △호기심과 관련된 업무 능력에 대한 언급 또한 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관리자의 60%는 오늘날과 같은 대퇴사 시대에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고 동기부여를 강화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답했다. 또한 관리자의 절반 이상은 △우수한 직원 유지(52%) △기본 업무 이상의 업무 부여(51%) △다른 팀 및 부서와의 협업 추진(50%)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답변했다. 반면, 호기심은 이러한 주요 비즈니스 과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많은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관리자들은 호기심의 매우 중요한 이점으로 △효율성과 생산성 개선(62%) △보다 창의적인 사고와 해결책(62%) △협업과 팀워크 강화(58%) △직원 결속력과 업무 만족도 향상(58%) 등을 꼽았다.
대다수의 관리자는 호기심이 △새로운 해결책 수립(62%) △복잡한 문제 해결(55%) △데이터 분석(52%) 시 중요하며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와 통합을 촉진하는 중요한 성격적 특성이라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호기심이 많은 기업 내 관리자들은 자신이 속한 기업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상당히 앞서 있다고 답했다. 또한 이들은 업무에서 데이터를 자주 활용해 △고객(58%) △성과(60%) △동료 직원(63%)을 더욱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이 밖에도 향후 3년간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기업 내 관리자들은 인공지능(63%)과 데이터 분석(60%) 분야의 기술 전문성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사고(59%)와 문제 해결(59%)과 같은 개인적인 업무 자질을 갖춘 임직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다수의 기업, 호기심 개발과 활용 역량 부족으로 인해 뒤처질 수 있는 리스크 발생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다수 관리자는 호기심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업무 능력으로서 호기심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내 관리자 5명 중 2명 이상이 입사 지원자(47%)와 직속 부하 직원(42%)이 호기심을 지녔는지 파악하는 데 준비가 덜 됐거나 전혀 돼 있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설사 호기심을 파악할 수 있는 준비가 됐다고 느끼더라도 많은 관리자가 원래부터 호기심이 없는 직원의 호기심을 개발(47%)하기 힘들고, 호기심을 업무 성과(47%)와 비즈니스 영향(43%)에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호기심으로부터 얻은 혜택에 대한 인식과 기업 내 임직원의 호기심 활용 가능성 사이의 괴리를 시사한다.
한편 호기심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기업과 관리자는 △기업 교육 및 발전(79%) △임직원 인사 고과(76%) △승진(74%) 기준 △채용(74%) 기준 △기업 목표, 비전 및 가치관(70%) 등 전사적으로 호기심을 장려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관리자들은 △인사 고과 시 호기심 부문에 대한 평가(71%) △업무 시간 중에 열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찾을 수 있도록 허용(60%) △일대일 코칭 또는 멘토링(59%) △호기심을 가지고 보여주는 임직원을 공개적으로 칭찬(69%)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직속 부하 직원의 호기심을 장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이 업처치(Jay Upchurch) SAS 수석부사장 겸 최고정보책임자(CIO)는 “이번 연구는 임직원에게 단순히 호기심이 있으면 좋은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호기심이라는 성격적 특성이 기업이 중대한 과제를 해결하고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비즈니스 필수 요소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SAS 큐리아서티@워크 보고서에 대한 더욱더 자세한 내용은 SAS 큐리아서티@워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SAS 큐리아서티@워크 웹사이트: https://bit.ly/3pXNZ05
웹사이트: http://www.sas.com/ko_kr
연락처
SAS코리아 홍보대행
KPR
윤가람 과장
02-3406-2277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