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실사 수준의 디지털 액터 개발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 디지털콘텐츠연구단(단장 이만재)은 정보통신부가 실시하고 있는 선도기반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03년부터 연간 72억원(4년간 총 288억원)의 예산을 들여 "실사 수준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 제작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사업을 통해 디지털 액터를 비롯한 고품질 CG 특수 효과 제작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또한 ETRI는 그 결과를 10월 11일 오후 부산 국제영화제 기간 중에 펼쳐진 BIFCOM(부산국제필름커미션·영화산업박람회 Busan International Film Commission & Industry Showcase) 2005 행사에서 선보였다.
이번에 개발한 ETRI의 디지털 액터 기술은 배우나 방송인 등 실제 사람을 CG 캐릭터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기술은 기술의 한계로 인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국내 영상 콘텐츠를 질적으로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선보인 디지털 액터 기술은 ▲얼굴 표정 캡쳐 기술 ▲근육을 이용한 사실적인 얼굴 및 신체 표현 기술 ▲실제 인간 수준의 피부 렌더링 기술 ▲사실적인 머리카락 및 옷감 시뮬레이션 기술 ▲모션 데이터 처리 및 자동 동작 생성 기술 ▲동역학 기반 시뮬레이션 기술 ▲군중 처리 기술 등이 집약되어 있다. 이외에도 ▲영상기반 모델링 기술 ▲물 시뮬레이션 기술 등이 발표되었다.
"실사 수준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 제작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 사업에는 엔젠 테크놀로지, 비쥬텍 3D, 세모로직코리아, 서울대학교 등 4개의 연구기관이 동참하고 있다.
CG 기술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액터 기술은 소니 픽처스 등 해외 유명 스튜디오에서도 현재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엄청난 흥행 수익을 올린 <반지의 제왕>의 골룸이나 <스타워즈 에피소드 3>의 요다처럼 디지털 액터는 향후 디지털 영상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그 경제적 효과 역시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제작사에게는 주연 배우를 대체함으로써 개런티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주는 등 영상 산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개발된 ETRI의 디지털 액터 기술은 해외 블록버스터에 등장하는 디지털 액터와 동등하거나 일부 기술에선 오히려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날 기술시연회에 참석했던 국내외 영화 관계자들은 디지털콘텐츠연구단의 디지털 액터 기술은 영화산업에서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게임이나 각종 캐릭터 연계사업으로 인한 연쇄적인 부가가치 창출 등 영상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하며 개발 기술이 제작 현장에서 빨리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이에 디지털액터연구팀장 이인호 박사는 이미 현재 제작 중인 국내 대형 상용 콘텐츠에 시범적으로 기술 적용을 하고 있으며 빠른 시일 안에 많은 업체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대답했다.
ETRI 디지털콘텐츠연구단 이만재 단장은 “이번 디지털 액터 개발을 통해 소수의 해외 메이저 제작스튜디오만이 비공개로 독점 보유하고 있던 디지털 영상 콘텐츠 제작에 핵심이 되는 다양한 인-하우스 소프트웨어를 선진국 수준의 기술로 자체 개발, 보유하게 됐다”며, “국내 영상 콘텐츠 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키고 세계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요
ETRI는 전전자식교환기 (TDX),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CDMA)등의 정보통신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우리나라가 정보통신 강국으로 진입하는데 획기적인 기여를 해 온 국내 최대의 정보통신 국책 연구 기관이다.
웹사이트: http://www.etri.re.kr
연락처
홍보실 정길호 042-860-6758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