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반도체 연구, 기술 개발 동향과 적용 사례 및 상용화 세미나 개최
일본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의 전력반도체 세계 시장규모는 231억달러, 2025년에는 339억1천만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0년부터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SiC(탄화규소) 및 GaN(질화갈륨) 소재의 전력반도체 시장 수요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산업교육연구소(소장 김성의)는 국내외 전력반도체 4대 소자별 개요 및 상용화 동향과 기술 경쟁력 분석과 국내외 전력반도체 산업 최근 트렌드 및 산업 육성 정책과 탄화규소(SiC) 및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의 연구, 기술개발 동향을 비롯하여 단결정 소재의 특성 및 응용과 실증 사례뿐만 아니라 주요 기술 이슈에 이르기까지 전력반도체의 제반 정보를 공유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부품! 전력(Power) 반도체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및 상용화 세미나’를 3월 20일(화) 여의도 사학연금회관 2층 세미나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내외 전력반도체의 4대 소자별 개요 및 상용화 동향과 기술경쟁력 분석’ - 탄화규소(SiC) - 질화갈륨(GaN) - 슈퍼정션(Super-Junction) IGBT - 슈퍼정션(Super-Junction) MOSFET 등 발표자: ㈜트리노테크놀로지 김수성 상무
△‘국내외 전력반도체 산업의 최근 트렌드 및 시장 분석과 참여 기업체 사업 동향’ 발표자: LG경제연구원 김경연 연구위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인 전력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중점 추진 R&D분야 및 주요 성과’ 발표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손광준 지능형반도체 PD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 방향과 주요 기술과제’ -기술내용/기술의 특징/연구, 기술개발 성과/응용제품/시장이슈/Supply chain/수요전망 등 발표자: 한국전기연구원 전력반도체연구센터 김상철 박사
△‘탄화규소(SiC) 단결정 소재의 특성/응용 및 실증 사례’ 발표자: 동의대학교 이원재 교수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 방향과 주요 기술과제’- 기술 내용/기술의 특징/연구, 기술개발 성과/응용제품/시장이슈/Supply chain/수요 전망 등 발표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재경 박사
△‘질화갈륨(GaN) 단결정 소재의 특성/응용 및 실증 사례’ 발표자: ㈜루미지엔테크 이혜용 대표이사
△‘스마트카/수소, 전기차용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과 응용 분야 및 주요 기술 이슈’ 발표자: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코리아㈜ 이승수 대표이사
△‘신재생에너지용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과 응용 분야 및 주요 기술 이슈’ 발표자: 세미크론코리아㈜ 성낙규 실장
산업교육연구소는 SiC 및 GaN 전력반도체가 SiC에 비해 물질 특성이 우수하여 약 8배 높은 전압을 견딜 수 있고 전류는 100배까지 흘릴 수 있다며 열전도성이 뛰어나고 누설 전류가 작아 에너지 절약에 적합한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로 떠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세미나를 통해 SiC 및 GaN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동향 및 업계 동향을 살펴보고 용도별 분석을 통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인 전력반도체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결실 있는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며 반도체 및 관련 산업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웹사이트: https://www.kiei.com/
연락처
산업교육연구소
02-6124-333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