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다발성 골수종으로 새로 진단된 환자의 유지치료를 위한 단독요법으로 세엘진의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의 적응증을 확대하도록 긍정적 의견 채택

‘레블리미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유지요법을 위해 CHMP가 긍정적인 의견을 채택한 최초의 유일한 의약품이다.

‘레블리미드’의 적응증이 새로 추가됨에 따라 다발성 골수종과 연계된 질환 치료 영역을 확대하게 됐다.

부드리, 스위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유럽의약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가 ‘레블리미드’(REVLIMID®)를 자가 조혈모세포이식(ASCT)술을 받은 후 다발성 골수종(MM)으로 새로 진단된 성인환자의 유지 치료를 위한 단독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을 채택했다고 세엘진 코퍼레이션(Celgene Corporation)(나스닥: CELG)의 완전 소유 자회사인 세엘진 인터내셔널(Celgene International Sàrl)이 1월 27일 발표했다. ‘레블리미드’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의 승인을 받으면 이러한 환자의 유지 치료제로 허가 받는 최초의 유일한 의약품이 된다.

다발성 골수종은 종양이 증식되고 면역체계를 억압하는 특성이 있는 생명을 위협하는 난치성 백혈병이다[1]. 희귀하지만 치명적인 질환인 다발성 골수종은 유럽에서 매년 약 3만 9000여명이 발생하고 약 2만 4000여 명이 사망하고 있다[2]. 유럽 환자들의 진단 시점의 평균연령은 65~70세이다[3]. 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65세 미만의 환자들이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을 받기에 적합한 임상적 여건을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4].

조혈모세포이식술을 받아야 하는 다발성 골수종으로 새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주요 치료 목표는 치료에 대한 강력한 반응을 확보, 유지하여 궁극적으로는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있다[5,6]. 이러한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유도 요법과 고용량 멜팔란(melphalan) 화학요법을 사용한 후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을 받는다. 이러한 치료 접근방식이 지난 20여 년 동안 표준 요법으로 자리 잡아 왔다[7].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8,9]을 받은 환자의 절반 이상이 수술 후 2~3년 이내에 재발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의 유지요법이 더 지속적인 관해가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실시됐다.

프랑스 인스티튜트 유니버시테어 두 캔서 툴루즈 옹코폴(Institut Universitaire du Cancer Toulouse Oncopole) 및 인스티튜트 클로디어스 레고드(Institut Claudius Regaud)의 미셸 아탈(Michel Attal) 전무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ASCT)을 받은 후 ‘레블리미드’로 유지 치료를 하면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잔류 악성 세포를 억제하고 종양 성장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임상 연구에서 나타났다”며 “임상 연구의 기본 목표는 질환의 진행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이었는데 몇 개 독립적 연구를 통해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레블리미드’ 유지 요법을 사용하면 치료 반응을 유지함으로써 질환의 진행 위험성을 반감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유럽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CALGB 100104[10] 및 IFM 2005-02[11] 등 두 건의 협력적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권고했다.

· CALGB 100104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을 받은 후 다발성 골수종으로 새로 진단된 환자 460명을 대상으로 질환이 재발할 때까지 ‘레블리미드’ 또는 위약을 매일 지속적으로 투여하여 실시한 위약 대조, 이중맹검, 다센터 3상 임상시험이다.

· IFM 2005-02는 다발성 골수종으로 새로 진단된 환자 614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2개월 동안 ‘레블리미드’ 단독요법으로 공고 치료(consolidation regimen)를 실시한 다음 질환이 재발할 때까지 ‘레블리미드’ 또는 위약을 매일 지속적으로 투여한 다국가, 위약 대조, 이중맹검, 다센터 3상 임상시험이다.

이들 두 3상 임상시험에서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레블리미드’ 단독 요법으로 유지치료를 실시한 결과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질환 진행 또는 사망 위험성을 유의미하게 낮춰서 중간 분석에서 미리 설정한 경계선을 넘는 우월성을 보임에 따라 맹검을 해제하고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이들 임상연구에서 안전성 프로필은 비(非)조혈모세포 이식술(NSCT) 후 새로 진단된 환자 및 재발성/불응성 다발성 골수종(rrMM) 환자에 대한 승인 후 안전성 프로필을 연구한 다른 임상시험의 데이터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들 3상 임상시험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증과 혈소판 감소증 등 혈액 관련 부작용이었다. 가장 많이 보고된 비(非)혈액관련 부작용은 감염병이다. 이들 두 임상시험에서는 ‘레블리미드’ 투여 환자군이 위약 투여 환자군에 비해 혈액 관련 이차성 원발암(SPMs)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됐다. 하지만 유럽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레블리미드’의 이번에 새로 확대된 적응증의 유익성 대 위험성 비율이 긍정적이라고 확인했기 때문에 긍정적인 의견을 채택한 것이다.

세엘진의 투오모 팻시(Tuomo Pätsi)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지역 담당 사장은 “그 동안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이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아직도 난치성 질환이다.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의 긍정적인 의견은 ‘레블리미드’가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연계된 질환 치료 영역을 확대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환영한다”며 “세엘진은 다발성 골수종 같이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환을 관리가 가능한 질환으로 바꿔 놓기 위해 힘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회사는 매출 수익의 3분의 1이상을 연구 개발에 지속적으로 재투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유럽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의 심사 결과는 28개 유럽연합(EU) 회원국 전체뿐 아니라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및 아이슬란드에 적용된다. 대체로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의 권고를 따르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약2개월 후에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의약품이 승인될 경우, 구체적인 사용 조건은 유럽 공공 평가보고서(European Public Assessment Report, EPAR) 개정판에 수록되는 제품특성 요약문(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에 기술될 예정이다.

CALGB 100104임상 개요

CALGB 100104는 미국 내 47개 센터에서 진행된 무작위 배정, 위약 대조, 이중맹검, 다센터 3상 임상시험이다. 이 임상에서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ASCT) 후 최소 100일 동안 안전 병변(SD)이나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은 다발성 골수염으로 새로 진단된 18~70세 환자 460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질환이 진행되거나 견딜 수 없을 정도의 부작용 또는 사망에 이르기 전까지 ‘레블리미드’ 유지요법(3개월 동안 매일 10mg 투여 후 15mg 매일 투여)이나 또는 위약을 투여했다.

IFM 2005-02임상 개요

IFM 2005-02는 유럽 3개국의 77개 센터에서 진행한 위약 대조, 이중맹검, 다센터 3상 임상시험이다. 이 임상에서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을 받은 후 6개월 이내에 질환이 진행될 징후가 없는 65세 이하의 새로 진단된 다발성 골수종 환자 614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레블리미드’ 25mg를 단독요법으로 21/28일간 매일 투여한 다음 질환이 진행되거나 견딜 수 없을 정도의 부작용 또는 사망에 이르기 전까지 ‘레블리미드’ 유지요법(3개월 동안 매일 10mg 투여 후 15mg 매일 투여)이나 또는 위약을 투여했다.

‘레블리미드’(REVLIMID®) 개요

‘레블리미드’는 유럽, 미국, 일본과 그 밖의 25개국에서 조혈모세포이식술을 받을 수 없고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다발성 골수종 성인 환자에게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병용하도록 승인됐다. 또 ‘레블리미드’는 유럽, 미주, 중동 및 아시아 지역의 70개에 가까운 국가에서 과거 1회 이상 치료를 받은 일이 있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덱사메타손과 병용하도록 승인됐으며,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1차 치료 후 질환이 진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덱사메타손과 병용하도록 승인됐다.

또한 ‘레블리미드’는 미국, 캐나다, 스위스, 호주, 뉴질랜드, 일부 중남미 국가, 말레이시아, 이스라엘 등에서는 추가 세포유전학적 이상이 있거나 없는 5q 결실 세포유전학적 이상과 관련하여 저위험도나 중간-1위험도의 골수 형성이상 증후군(MDS)으로 인해 수혈 의존적인 빈혈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됐고, 유럽에서는 다른 치료 옵션이 불충분하거나 부적절할 경우 고립성 5q 결실 세포유전학적 이상과 관련하여 저위험도나 중간-1위험도의 골수 형성이상 증후군(MDS)으로 인해 수혈 의존적인 빈혈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승인됐다.

이와 함께, ‘레블리미드’는 이전에 보르테조밉(bortezomib)을 포함한 두 가지 요법을 사용한 후 질환이 재발 또는 진행된 외투세포 림프종(MCL) 환자 치료제로 유럽과 미국에서 승인됐다. 스위스에서는 이전에 보르테조밉과 항암 화학요법/리툭시맙(rituximab)으로 치료받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 환자 치료를 위한 적응증이 승인됐다.

유럽연합 제품특성 요약문(SmPC)에 근거한 중요한 추가 안전성 정보

사용 금지 사유

‘레블리미드’(성분명: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는 제형에 있는 활성물질이나 첨가제에 과민증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환자에게는 사용을 금한다. ‘레블리미드’는 임신예방 프로그램(Pregnancy Prevention Programme)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한 임신 중인 여성과 가임 여성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

경고 및 주의사항

임신: 모든 환자는 임신할 가능성이 없다는 믿을 만한 증거가 없는 한 임신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심혈관 질환: 심근경색이나 혈전 색전증 위험인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환자는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백혈구 감소증 및 혈소판 감소증: 혈구의 감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치료 개시 후 8주 동안 매주, 그 이후부터는 매월 혈구 수를 완전히 파악해야 한다. 혈구가 감소하면 치료제의 복용량을 낮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백혈구 감소증 감염 여부: 모든 환자들은 감염 징후가 처음 나타나면 즉시 의료 관심을 얻도록 권고해야 한다.

신장 장애: 신장 장애가 있는 환자는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 하도록 권고해야 한다.

갑상선 장애: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주는 공존 질환을 최적으로 관리할 것을 권고한다. 갑상선 기능을 기본적이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것을 권고한다.

종양 용해 증후군: 치료 이전에 종양 부담이 큰 환자는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알레르기 반응: 과거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로 치료할 때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환자는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중증 피부 반응: 박탈성 발진이나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거나 또는 스티븐 존슨 증후군(SJS)이나 중독성표피 괴사증(TEN)이 의심될 경우는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의 사용을 중단하고 그러한 반응이 중단된 후에는 사용을 재개해서는 안 된다. 다른 형태의 피부 반응이 일어날 경우는 정도에 따라 레날리도마이드의 사용을 중단 또는 중지해야 한다. 탈리도마이드 치료로 인해 심한 발진 병력이 있는 환자는 레날리도마이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유당 불내성: 유전적으로 희귀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이나 유당 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가 있는 환자는 이 의약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차성 원발암(SPM):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멜팔란과 병용하거나 고용량 멜팔란 사용과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술(ASCT) 직후에 ‘레블리미드’을 사용하면 혈액학적 이차성 원발암(SPM)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의사들은 치료 전과 치료 기간 중에 표준 암검진 방법을 사용하여 이차성 원발암(SPM) 발생 여부를 신중하게 평가하고 지정된 적응증에 따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간 기능 장애: 신장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복용량을 조정해야 한다. 환자들은 특히 간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병력이 있거나 현재 감염된 상태이거나 또는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간 기능 장애와 연관성이 있는 의약품과 병용할 때에는 간 기능을 모니터링할 것을 권한다.

새로 진단된 다발성 골수종 환자: 환자는 연령, ISS stage III(증후성 다발성 골수종3기), ECOG(신체활동능력 평가지수) 수행능력 평가(PS)≤2 또는 크레아티닌 청소율(CLcr)<60 mL/분 등을 고려하여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병용할 수 있는지를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

백내장: 시각 능력을 정기적으로 검사할 것을 권한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안전성 프로필 요약

새로 진단된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저용량 덱사메타손과 병용할 경우

·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저용량 덱사메타손과 병용하면(Rd 및 Rd18) 멜팔란, 프리드니손(prednisone) 및 탈리도마이드(MPT)와 병용했을 때 보다 폐렴(9.8%) 및 신부전(급성 포함)(6.3%)등의 중증 부작용이 더 빈번하게(≥5%) 일어난 것으로 관찰됐다.

· Rd(‘레블리미드’와 저용량 덱사메타손의 병용) 또는 Rd18이 MPT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난 것으로 관찰된 부작용은: 설사(45.5%), 피로(32.8%), 요통(32.0%), 무력증(28.2%), 불면증(27.6%), 발진(24.3%), 식욕 감퇴(23.1%), 기침(22.7%), 발열(21.4%), 근육 경련(20.5%) 등이다.

새로 진단된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멜팔란 및 프리드니손과 병용할 경우

·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멜팔란 및 프리드니손과 병용한 후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 유지 요법(MPR+R) 또는 멜팔란 및 프리드니손과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병용한 다음 위약(MPR+p)을 사용했을 경우, 멜팔란 및 프리드니손과 위약을 병용한 다음 위약(MPp+p)을 사용했을 때 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난(≥5%) 것으로 관찰된 중증 부작용은 호중구 감소증(6.0%)과 빈혈(5.3%)이다.

· MPR+R 또는 MPR+p 병용요법이MPp+p 병용요법 보다 더 빈번하게 일어난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증(83.3%), 빈혈(70.7%), 혈소판 감소증(70.0%), 백혈구 감소증(38.8%), 변비(34.0%), 설사(33.3%), 발진(28.9%), 발열(27.0%), 말초 부종(25.0%), 기침(24.0%), 식욕 감퇴(23.7%), 무기력(22.0%)등이다.

이전에 최소 1회 이상 치료 받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는

·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와 덱사메타손을 병용했을 경우 위약과 덱사메타손을 병용했을 때 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난 가장 심한 부작용은 정맥 혈전 색전증(심부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및 4급 백혈구 감소증 등이다.

·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와 덱사메타손을 병용하고 위약과 덱사메타손을 병용한 통합 임상시험(MM-009 및 MM-010)에서 더 빈번하게 일어난 것으로 관찰된 부작용은 피로(43.9%), 호중구 감소증(42.2%), 변비(40.5%), 설사(38.5%), 근육 경련(33.4%), 빈혈(31.4%), 혈소판 감소증(21.5%), 발진(21.2%)등이다.

특별 환자군

소아 환자: 갓 태어난 아기에서부터 18세에 이르는 청소년에게는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다발성 골수종으로 새로 진단된 노인 환자: 75세 이상 되는 환자에게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와 덱사메타손을 병용할 경우, 28일 치료 주기의 제1일, 8일, 15일 및 22일에는덱사메타손의 복용량을 20mg로 시작해야 한다. 75세 이상 환자에게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와 멜팔란 및 프리드니손을 병용할 때에는 복용량을 조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전에 최소 1회 이상 치료 받은 노인 환자: 복용량을 주의 깊게 선택하고 신장 기능을 신중하게 모니터링 해야 한다.

신장 장애 환자: 복용량을 주의 깊게 선택하고 신장 기능을 신중하게 모니터링 할 것을 권한다. 경증 신장 장애와 다발성 골수종 환자는 복용량을 조정하지 않아도 된다. 중등도나 중증 신장 장애 또는 말기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는 치료를 시작할 때와 전체 치료기간 동안 복용량을 조정할 것을 권한다.

간 기능 장애 환자: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는 간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공식적인 임상 연구를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권고하는 특정 복용량이 없다.

유럽 처방정보(European Prescribing Information) 전문은 제품특성 요약문(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참조.

세엘진(Celgene) 개요

세엘진 인터내셔널(Celgene International Sàrl), 은 스위스 부드리(Boudry)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엘진 코퍼레이션(Celgene Corporation)의 전액 출자 자회사이자 국제 본사이다. 미국 뉴저지주 서밋에 본사를 둔 세엘진 코퍼레이션(Celgene Corporation)은 단백질 항상성, 면역종양학, 후성유전학, 면역학 및 신경염증 분야에서 차세대 솔루션을 통해 암과 염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혁신적 치료법의 발굴, 개발, 상용화에 매진하는 글로벌 통합 제약회사다. 상세 정보는 웹사이트(www.celgen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트위터, 핀터레스트, 링크드인, 유튜브

미래예측 진술

이 보도자료는 대체로 과거 발생하지 않은 사실을 진술한 미래예측 진술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예측진술은 ‘기대하다’, ‘예상하다’, ‘믿다’, ‘의도하다’. ‘추정하다’, ‘계획하다’, ‘~할 것이다’. ‘전망하다’ 등의 단어와 유사한 표현으로 구별할 수 있다. 미래예측 진술은 경영진의 현재 계획, 예측, 가정, 전망에 기반하며, 자료 작성 당일의 상황만을 나타낸다. 세엘진은 법적 요구가 없는 한 새로운 정보나 미래 사건과 관련해 미래예측 진술을 업데이트할 책임이 없다. 미래예측 진술은 내재적 위험과 불확실성을 수반하며, 이 가운데 대부분은 예상하기 어려우며 통제 범위를 넘어선다. 실제 실적이나 결과는 다수 요소의 영향으로 미래예측 진술에 암시된 바와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해당 요소 중 상당수는 세엘진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폼 10-K 연차보고서와 기타 보고서에 상술돼 있다.

모든 등록상표는 세엘진 코퍼레이션의 소유이다.

1 Palumbo A, et al. N Engl J Med. 2011;364:1046-1060.
2 Ferlay J, et al. Eur J Cancer. 2013;49:1374-1403
3 Moreau P, et al. Ann Oncol. 2013; 24 (Suppl 6): vi133-vi137
4 Moreau P, et al. Ann Oncol. 2013; 24 (Suppl 6): vi133-vi137
5 Stewart AK, et al. Blood. 2009;114:5436-5443.
6 Hoering A, et al. Blood. 2009;114:1299-1305
7 Bird JM, et al. Br J Haematol. 2011;154:32-75
8 Attal M, et al. Blood. 2006 Nov 15;108(10):3289-94
9 Child JA, et al. N Engl J Med. 2003; 348:1875-1883
10 McCarthy PL, et al. N Engl J Med. 2012;366(19):1770-1781. CALGB is the cooperative group Cancer and Leukemia Group B (now known as Alliance).
11 Attal M, et al. N Engl J Med. 2012;366(19):1782-1791. IFM is the cooperative group Intergroupe Francophone du Myélome.

비즈니스 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70127005249/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celgene.com

연락처

세엘진 인터내셔널(Celgene International Sàrl)
언론 문의
스테이시 민튼(Stacey Minton)
사무실: +41 32 729 62 36 / 휴대전화: +41 79 265 23 52
sminton@celgene.com
마릴린 이바(Maryline Iva)
+41 79 816 16 94
miva@celgene.com

투자자 문의
+41 32 729 8303
ir@celgene.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