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 ‘스마트 자동 급이 시스템’ 개발 본격 착수

양식장 경영주의 니즈가 반영된 스마트 자동 급이 시스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최신 IT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 양식 기술 발전에 기여

“IoT 기반 스마트 양식장 시스템에 이어 양식 환경 개선할 것”

뉴스 제공
비디
2016-12-22 13:00
서울--(뉴스와이어)--ICT 융합형 서비스 및 플랫폼 운영 전문 기업 비디(BD Inc.)가 11월 ‘IoT 통신 기술 기반의 내수면 양식장 맞춤형 자동 급이 시스템’ 과제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본격적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비디는 스마트 양식 사업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2016 K-Global ICT 유망기술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최근 몇 년간 국가 지원 및 연구 사업으로 다수의 자동 급이기가 상용화되었으나 양식장의 환경에 적합하지 않아 실제로 보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디는 스마트 양식장 시스템을 도입한 양식장 경영주들의 니즈를 철저히 분석하여 시스템에 반영하였다.

비디의 자동 급이기는 사물인터넷 전용 무선 통신(LPWA) 칩을 장착하여 양식장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해 양식장 경영주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급이 이력 관리를 전산화하여 수기로 인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스마트 자동 급이기를 도입한 양식장들의 급이 이력과 수산과학연구원에서 관리 중인 전국 양식장의 급이 데이터들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생육 환경에 따른 적절한 급이량을 추천 정보로 제공한다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량 급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비디 컨버전스본부 김용목 본부장은 “스마트 자동 급이기는 국내 최초 IoT 기반 스마트 양식장 시스템에 이어 양식 환경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며 “앞으로 미래 양식산업 발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ICT 기술을 접목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비디는 현재 SK텔레콤과 2014년 7월 민관 공동 투자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개발한 ‘국내 최초 IoT 기반 스마트 양식장 시스템’으로 울진, 고창, 청주, 안동 등의 내수면 양식장에서 뱀장어, 송어, 향어, 새우, 동자개 등 다양한 어종들의 관리를 위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비디 개요

비디는 클라우드, 스마트금융, IoT를 포함한 ICT 융합형 서비스 개발과 플랫폼 운영 분야 전문 기업이다. 2003년 10월 블루다임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된 이후, 통신 분야 IT기술에 대한 전문성과 사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신/전자 특화 솔루션을 제공하여 시장과 고객을 창출하는 회사로 성장해 왔다. 현재는 통신/전자 분야를 넘어 ICT 융합형 서비스 개발 및 오픈플랫폼 구축 경험으로 스마트금융과 클라우드 전환 사업 분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bluedigm.com

연락처

비디
경영기획실
박지웅 선임
02-2025-499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