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퀘스트, ‘인공지능으로 진화하는 지능형로봇 시장 실태와 전망’ 보고서 발간
2016년 6월 세계적인 혁신기업가로서 인식되고 있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의 차기 아이템이 설거지 로봇 등 가사지원 로봇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다음날 구글은 음성인식이 가능하며 진보된 자율주행 성능을 보유한 로봇견이 주인의 심부름을 완벽히 수행하는 영상을 공개하면서 가까워진 로봇의 세계를 우리에게 실감나게 보여주었다.
지능형 로봇이 본격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로봇기술의 진보에 의한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주변기술의 발전에 힘 입은 바도 크다. 대표적인 것이 센서기술, 통신기술, IoT, 나아가 AI(인공지능) 기술 등이다. 이러한 주변기술이 로봇에 본격 채용되면서 그동안 기계수준으로 인식되던 로봇이 점차 인터렉티브하고 감성인식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수준으로 진보하고 있는 것이다.
여전히 산업용 로봇이 제조혁신과 맞물려 주목되면서 활발한 채용이 이루어지는 분야라면 개인서비스 로봇은 가사지원에서 교육, 헬스케어에서 나아가 엔터테인먼트를 공유하는 로봇으로 그 종류와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으며 재난, 안전 대응 로봇이나 수술 등 의료용 로봇, 감시정찰 등 보안이나 군사용 로봇, 농업용, 물류 로봇 등의 분야 역시 혁신적인 성능 향상을 통해 빠르게 시장에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고령자나 장애인을 보조하는 외골격 로봇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습으로 변모하며 그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다.
한편 드론이나 무인카 등 미래 신사업으로 주목 받는 분야의 핵심 기술은 대부분이 RT(로봇기술)기술로 이는 로봇기술이 더이상 주변 기술이 아니라 산업융합의 중심에 서는 핵심기술로서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이는 그동안 IT(정보기술), NT(나노기술), BT(바이오기술) 등 융합기술의 중심을 나타내는 용어에 RT가 당당히 이름을 올리는 산업 환경을 예견하게 하는 것이며 로봇기술의 활용능력이 미래 신사업의 성공을 좌우할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는 것이다.
이미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과 중국 등은 로봇을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지정하고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각종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며 전술한 구글과 테슬라의 사례처럼 글로벌 톱 클래스의 기업들은 대부분 로봇제품이나 로봇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노력에 전략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기술력을 갖춘 신생벤처를 거액에 인수 합병하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당사는 지능형 로봇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과 시장, 주요 사업분야별 국내외 핵심 참여업체의 사업전략 등을 분석하여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본서를 출판하게 되었다.
이슈퀘스트는 본 보고서가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뿐만 아니라 관심을 갖고 계신 모든 분들의 업무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인공지능으로 진화하는 지능형로봇 시장 실태와 전망 상세 페이지: http://issuebook.co.kr/ebook/view.asp?mode=&gno=17...
웹사이트: http://www.issuebook.co.kr
연락처
이슈퀘스트
하헌중
02-714-000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