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링제약: 세계 야뇨증의 날 2016 - 새로운 증거 통해 야뇨증이 어린이의 주간 활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야뇨증은 방광기능장애, 잠에서 깨기 어려움, 밤중에 소변의 과다생산[1] 등 여러 요인과 관련한 복합적 장애이며 자연스럽게 사라지지 않을 수도 있다[2]
수면 문제뿐 아니라 뇌와 심리적 기능과 야뇨증 간의 증가된 연관성이 잘 정리되었다[1,3]
야뇨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할 경우 어린이의 감정적 부담이 제거되고 청각적 기억력, 삶의 질 및 주간 활동기능이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4]
야뇨증은 누구의 잘못도 아니며 정상적인 건강상태로 치료될 수 있고 치료되어야 한다[5]
벨기에 겐트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 Ghent) 소아 신장학과/비뇨기과의 샬롯 반 허질(Charlotte Van Herzeele)은 “이 연구는 제대로 치료받지 못할 경우 발육 중인 어린이의 신경심리학적 기능에 미치는 악영향을 증명하고 있다”며 “이러한 추가적인 문제들은 일반적인 건강 상태인 야뇨증을 치료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기 때문에 가족들은 전문의료인과 이 문제를 의논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최적의 관리 기법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확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야뇨증은 어린이의 인지 기능과 심리사회적 웰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 이 상태는 어린이의 학교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7]
· 어린이의 자존감이 훼손되어 친구들로부터 스스로를 고립시킬 수 있다[1,2,7]
· 불안감 때문에 친구 집에서 외박이나 학교 소풍 같은 단체 행사에서도 친구들 있는 데서 실수 할까봐 참여를 꺼릴 수도 있다[1,2,7]
· 또한 친구와 가족을 만나러 가거나 휴가를 위한 장거리여행(비행 또는 장거리 운전)을 꺼리게 될 수도 있다[7]
이러한 상황에 처한 아이를 가진 부모들은 침대시트를 교체하고 아이를 씻기고 옷을 갈아 입히는 등 이 현상으로 인한 결과를 처리하는 데 하루 평균 한 시간을 사용한다[8]. 이러한 상태에 있는 5세 이상9의 아이를 가진 부모들 거의 절반이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지 않고 생활방식부터 바꾸려고 하면서[7] 이 현상이 종종 지연되기도 한다. 이러한 결과로 자녀의 야뇨증 문제를 문의하기 위해 전문 의료인을 찾는 데 대략 1년에서 3년의 시간이 소요된다[7].
오르후스대학병원(Aarhus University Hospital) 소아 및 청소년과 신장비뇨기과 팀 교수인 소렌 리티그(Søren Rittig) 박사는 “야뇨증이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부모들이 잘 이해하고 전문 의료인이 도움이 된다는 걸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효과적인 치료를 통해 부모와 아이들은 그들의 삶을 되찾을 수 있다. 지금이 바로 행동에 옮길 시간이다!”고 밝혔다.
세르다르 텍귈(Serdar Tekgül) 하세테페대학교(Hacetteppe University) 비뇨기과 교수는 “많은 어린이들과 가족들은 거의 매일밤 야뇨증과 직면하고 일부는 몇 년 동안이나 고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야뇨증이 어린이의 사회적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간과되어왔다”며 “종종 이러한 상태는 자연스러운 발육과정이며 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없어진다고 잘못 인식되곤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어린이 본인에게는 당황스럽고 사회적,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일이고 가족들에게도 극도로 스트레스 받는 일이다”며 “이제 이러한 아이들과 가족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치료 가능성을 모두에게 알리고 실행에 옮길 시간이다”고 강조했다.
야뇨증(Bedwetting)
야뇨증(Bedwetting, 또는 nocturnal enuresis)은 잠든 시간에 제어할 수 없는 소변의 유출을 의미한다[10]. 5세 이상의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야뇨증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야뇨증은 대부분의 경우 밤중에 소변의 과잉생산 또는 방광의 용량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1]. 잠에서 깨지 못하는 현상도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1]. 야뇨증은 심리적인 원인은 수반하지 않는다[1]. 야뇨증은 어린이들에게 일반적인 건강 상태이며[11] 7세 어린이의 약 5~10%가 종종 이불을 적시곤 하며 이 문제는 10대와 성인이 되어서도 이어질 수 있다[12].
세계 야뇨증의 날(World Bedwetting Day)
해마다 5월의 마지막 화요일에 열리는 세계 야뇨증의 날(World Bedwetting Day)이 올해는 5월 24일 진행된다. 세계 야뇨증의 날은 국제소아배뇨장애학회(International Children’s Continence Society, ICCS)와 유럽소아비뇨기과학회(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Urology, ESPU) 및 전세계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세계 야뇨증의 날 조정위원회(World Bedwetting Day Steering Committee)가 추진하고 지원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페링제약이 제공하는 무제한 교육 교부금에 의해 지원된다.
2015년 국제소아배뇨장애학회(International Children’s Continence Society, ICCS)와 유럽소아비뇨기과학회(European Society of Paediatric Urologists, ESPU)가 대중 및 의료 전문인들에게 야뇨증이 일반적인 건강 상태이며 치료될 수 있고 치료받아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제1회 세계 야뇨증의 날을 출범시켰다[11]. 주제는 ‘행동에 옮길 시간(Time to Take Action)’으로, 야뇨증으로 고생하는 어린이들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www.worldbedwettingday.com 참조.
페링제약에서 지원하는 기관
*아시아태평양 소아비뇨기과 학회(Asia Pacific Association of Paediatric Urology, APAPU), 세계소아신장학회(International Paediatric Nephrology Association, IPNA), 유럽소아신장학회(European Society of Paediatric Nephrology, ESPN), 이베로아메리카나 소아신경과학회(Sociedad Iberoamericana de Urologia Paediatrica, SIUP), 소아비뇨기과학회(Society of Pediatric Urology, SPU), 미국 소아과학회-소아비뇨기과 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Section on Urology, AAP-SOU), 미국소아비뇨기과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Pediatric Urology, AAPU)
참고문헌
[1] 반드 왈 J(Vande Walle J) 외, 논문정정(Erratum to): 야뇨증 관리를 위한 실행 합의 지침(Practical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nuresis). Eur J Pediatr 2012;171:971-983
[2] NHS 자료: http://www.nhs.uk/conditions/Bedwetting/pages/introduction.aspx [최근 접속: 2016년 4월 6일]
[3] 본 곤타드 A.(von Gontard A), 배옌스 D(Baeyens D), 반 후오케 E(Van Hoecke E), 와르작 WJ(Warzak WJ), 배치만 C(Bachmann C) (2011) 요실금 및 대변실금의 심리 및 정신적 문제(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issues in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J Urol 185:1432-1436.
[4] 반 허질 C(Van Herzeele C), 돈트 K(Dhondt K), 로엘스 S P 외. 어린이의 단일증상성 야뇨증 및 야간 다뇨에 대한 데모프레신(멜트) 치료의 신경심리학적 지능 및 수면 개선 결과(Desmopressin(melt) therapy in children with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and nocturnal polyuria results in improved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sleep). Pediatr Nephrol. 2016; DOI 10.1007/s00467-016-23351-3
[5] 얄마스 K(Hjälmås K) 외. 야뇨증: 세계적 증거 기반 관리전략(Nocturnal Enuresis: An International Evidence Based Management Strategy). 비뇨기과학술지(The Journal of Urology). 2004; 171:2545-2561
[6] 조인슨 C(Joinson C) 외. 영국인 기반 대변, 주간 배뇨 및 야뇨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어린이들의 지적능력 연구(A United Kingdom population-based study of intellectual capacitie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oiling, daytime wetting, and bed-wetting) Pediatrics. 2007;120(2):e308-16
[7] 조인슨 C(Joinson C) 외, Pediatrics. 2007 Aug;120(2):e308-16
[8] 인사이츠 컨설팅(InSites Consulting). 미니린 시장조사용 순응도 증가(Increasing Adherence for Minirin Market Research). 2016
[9] 슐로머(Schlomer), 브루스(Bruce) 외 야뇨증의 원인, 치료 및 전문가의 의료적 도움 요청 필요성에 대한 부모들의 생각(Parental beliefs about nocturnal enuresis causes, treatments, and the need to seek professional medical care), 소아비뇨기과 학술지(Journal of Pediatric Urology).2013; 9, 1043e1048
[10] 오스틴 P(Austin P) 외. 어린이 및 청소년의 하부 요로 기능 전문용어 표준화: 국제소아배뇨장애학회 표준화위원회 개정보고서(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pdate Report from the Standardiz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hildren’s Continence Society), 비뇨기과학술지(The Journal of Urology). 2014;191:1863-1865
[11] 얄마스 K(Hjälmås K) 외. 야뇨증: 관리전략 기반의 국제적 증거(Nocturnal Enuresis: An International Evidence Based Management Strategy). 비뇨기과학술지(The Journal of Urology). 2004; 171:2545-2561
[12] 네베투스 T(Nevéus T). 야뇨증- 이론적 배경 및 실무 지침(Nocturnal enuresis—theoretic background and practical guidelines). Pediatr Nephrol. 2011; 26:1207-1214
비즈니스 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60523006218/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ferring.com
연락처
페링제약 홍보대행
보슨-마르스텔러(Burson-Marsteller)
네할 파텔(Nehal Patel)
+44 2073006173
Nehal.patel@bm.com
이 보도자료는 Ferring International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16년 5월 24일 1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