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정책지도’ 제5호 발간

충남지역 구급센터, 골든타임 10분내 도달 인구 96.6%

농촌지역 구급사고 185,001건, 도시지역보다 2배 높아

공주--(뉴스와이어)--충남도내에서 지난 3년간(2012~2014년) 발생한 구급사고 발생의 공간 특성과 구급센터로부터의 출동 골든타임을 분석한 지도가 나왔다.

이는 충청남도 소방방재센터가 제공한 구급사고 279,409건과 각종 공간자료를 행정동·리 단위로 연계 분석한 결과다.

29일 충남연구원 미래정책연구단 최돈정 박사는 ‘충남정책지도 제5호’에서 “충남의 골든타임 분석 결과, 충남지역 구급센터로부터 5분내 도달할 수 있는 거주 인구는 전체 인구의 85.3%, 10분 내 도달 가능한 거주인구는 전체 인구의 96.6%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를 행정동·리 개소 수와 사고발생 지점 수 기준으로 보면 전체 4,417개소의 행정동·리 중 5분내 도달가능한 곳은 3,777개소(85.5%), 전체 사고지점 279,409개소 중 260,719(93.3%)개소가 구급센터에서 10분내 도달 가능했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또한 구급사고 발생특성에 대한 공간분석결과, 지난 3년간 구급사고발생 50건, 인구대비 사고발생률 50%를 모두 초과하는 일명 ‘사고다발지역’은 전체 행정동·리 4,417개소 중 387곳으로 나타났고, 이중 386곳이 행정리 소재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 연구원은 “특히 농촌지역으로 분리되는 행정리는 지난 3년간 185,001건의 구급사고가 발생하여 94,408건이 발생한 행정동의 약2배가 많았다”며 “또한 인구 백명당 구급사고 발생건수도 행정리 평균이 29.6%로 행정동 평균 5.9%보다 월등히 높았다”고 우려했다.

한편 전체 구급사고 279,409건에 대한 시군별 비율은 천안시(59,208건, 21.2%), 아산시(34,332건, 12.3%), 서산시(22,311건, 8.0%), 당진시(21,744건, 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급사고의 종류별 분포는 기타사고를 제외하면 질병사고(39.6%), 사고부상(20.8%), 교통사고(11.9%) 등의 순이며, 이는 모든 시·군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최 연구원은 “시군별 구급사고의 종류별 비율을 보면, 당진시가 교통사고 비율이 17.2%로 가장 높았고, 청양군은 질병사고 비율 44.1%, 사고부상 비율 25.7%로 각각 가장 높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체 사고 279,409건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사고는 총 84,472건으로 전체 구급사고의 30.2%에 해당한다. 그리고 전체 구급사고 대비 고령인구 사고 비율이 50%를 초과하는 곳은 충남 전체 행정동·리 4,417개소 중 1,406개소(31.8%)로 나타났다. 이를 시군별 비율로 보면 청양군(52.5%), 서천군(46.2%), 예산군(41.4%) 등의 순이다.

충남연구원 개요

충남연구원은 1995년 6월 충청남도와 16개 시군이 충남의 발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동 출연하여 설립한 종합정책연구기관이다.(현재 15개 시군) 이에 연구원은 충청남도 및 시군의 중장기 발전 및 지역경제 진흥, 지방행정과 관련된 정책 과제의 체계적인 연구와 개발 등에 대한 전문적·체계적인 조사분석, 연구활동을 통하여 각종 정책을 개발·제시하고 있다. 특히 2015년은 개원 20주년이 되는 해인만큼 ‘발전’을 뺀 충남연구원으로 명칭도 바꾸었다. 충남연구원은 ‘행복한 미래를 여는 충남연구원'을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cni.re.kr

연락처

(재)충남연구원
기획조정연구실
정봉희 홍보팀장
041-840-1123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