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최신 보고서, 아시아 디지털 사회 진전 조명
연결된 아시아 구현에서 인터넷 연결 및 규제 역할 강조
알라스데어 그랜트(Alasdair Grant) GSMA 아시아 본부장은 “아시아의 디지털 정책은 미래 지향적인 국가적 디지털화 의제를 정의, 촉진하고 역내 이슈에 대해 국경을 초월한 조화로운 접근을 지원한다는 면에서 지역 발전의 핵심 역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보고서와 더불어 GSMA 회원사 및 규제 파트너와 더욱 긴밀히 협력해 국가 개발 목표를 뒷받침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GSMA 최신 보고서는 호주,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일본, 파키스탄, 싱가포르, 태국 아시아 7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에 초점을 맞췄다. 이번 분석의 일환으로 각 시장에 대해 연결, 디지털 시민,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디지털 상거래 수준에 따른 평가가 이뤄졌다. 이들 시장은 지역별로 다양한 특성을 반영해 3개 범주로 구분됐다.
신흥 디지털 사회(Emerging digital societies)에는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이 꼽혔다. 이들 시장에서는 디지털화가 주로 사회경제 발전과 사회 통합을 가속화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우선 순위는 헬스케어, 교육, 금융 서비스와 같은 영역에서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환 디지털 사회(Transition digital societies)에는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포함됐다. 이 범주에서 디지털화는 개인과 기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주는 서비스 개인화에 집중됐다. 또한 급속한 도시화로 야기된 사회, 인프라, 환경 관련 이슈에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선진 디지털 사회(Advanced digital societies)는 호주, 일본, 싱가포르로 대표됐다. 이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액세스와 용량을 확보하고 있는 이 범주의 시장은 각 분야 간 상호 연결된 호환형 디지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이들 시장은 아시아 지역에서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주요 영역의 표준과 우수 사례를 정의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디지털 아시아 구현에서 모바일의 역할
디지털 사회 구축의 첫 걸음은 견고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다. 모바일은 아시아 지역에서 시민 대다수의 디지털 서비스 이용을 지원하는 주된 연결 형식으로 부상했다. 각국 정부는 주파수의 효율적 할당을 비롯해 신속한 모바일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대와 서비스 활용을 촉진하는 정책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계적으로 30억 명 이상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으며 이로써 디지털 경제의 직접적인 혜택을 누리거나 디지털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40억 명 이상이 여전히 오프라인 상태에 있으며 디지털 서비스에 참여할 수 없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전체 모바일 보급률은 전 세계 평균에 여전히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구 밀도가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모바일 보급이 저조한 시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의 총 인구는 16억 명 이상이지만 평균 고유 가입자 보급률은 36%에 불과하다. 이 지역의 미연결 인구의 연결은 모바일 업계와 정책 담당자가 향후 수 년간 직면할 주요 도전으로 남아있다.
GSMA의 디지털 사회 정책 포럼은 주파수 접근과 관련된 투자 장벽과 부문 과세를 철폐하는 한편, 여러 채널과 언어를 통해 디지털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확립하기 위한 캠페인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6개 국가(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태국)가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다.
다음 웹사이트에서 ‘아시아의 디지털 사회 발전’ 보고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https://www.gsmaintelligence.com/research/?file=9f48d32ff0671fb7dbbcb4efb84eabc0&download
GSMA 개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 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60426006124/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린지 매클린(Lindsey Maclean)
+44 7917 298428
Lindsey.Maclean@webershandwick.com
나팟 칸라야크리트(Napat Kanlayakrit)
+662 343 6000 x 181
NKanlayakrit@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