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5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통계청은 고용률 상위 시군은 농림어업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비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9개 도내 시지역 고용률 상위 5개 시(서귀포시, 당진시, 제주시, 보령시, 이천시)의 산업·직업별 취업자 비율을 보면 서귀포시는 ‘농림어업’(32.2%), 당진·제주·이천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6.9%, 34.7%, 30.5%), 보령시는 ‘농림어업’(26.7%)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6.7%)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5개 시 모두 ‘농림어업’ 비율이 시지역 ‘농림어업’ 비율(7.5%)보다 높았음
서귀포·보령시는 ‘농림어업숙련종사자’(27.1%, 25.6%), 당진·이천시는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32.2%, 26.9%), 제주시는 ‘서비스·판매종사자’(26.3%)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군지역 고용률 상위 5개 군(울릉군, 신안군, 의성군, 태안군, 인제군)의 산업·직업별 취업자 비율을 보면 신안·의성·태안군은 ‘농림어업’(74.0%, 62.4%, 42.6%), 울릉·인제군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1.3%, 31.2%)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울릉군은 ‘단순노무종사자’(22.2%), 신안·의성·태안·인제군은 ‘농림어업숙련종사자’(72.8%, 59.8%, 41.2%, 25.8%)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울릉·태안·인제군은 ‘서비스·판매종사자’ 비율이 20.0% 내외로 군지역 ‘서비스·판매종사자’ 비율(15.8%)보다 높았음
◇고용률 상위 시군의 농림어업/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비율
농림어업 취업자 비율은 신안군, 광·제조업 취업자 비율은 거제시가 최고였다.
산업별 취업자 비율을 보면 ‘농림어업’은 신안군(74.0%), ‘광·제조업’은 거제시(49.7%)가 가장 높았으며 ‘농림어업’, ‘광·제조업’ 비율이 높은 5개 시군*별 고용률은 시지역 고용률(58.6%), 군지역 고용률(66.5%)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 농림어업(비율, 고용률): 신안군(74.0%, 75.7%), 군위군(64.1%, 71.8%), 진도군(63.3%, 70.9%), 봉화군(62.7%, 70.4%), 의성군(62.4%, 74.6%)
* 광·제조업(비율, 고용률): 거제시(49.7%, 64.2%), 구미시(41.0%, 62.0%), 시흥시(39.8%, 59.1%), 오산시(38.6%, 59.8%), 음성군(37.5%, 67.5%)
‘건설업’은 여수시(16.4%), ‘도소매·음식숙박업’은 속초시(34.3%),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은 과천시(17.0%),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과천시(50.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 비율은 과천시가 최고였다.
직업별 취업자 비율을 보면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와 ‘사무종사자’ 비율은 과천시(44.4%, 27.3%)가 가장 높았으며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 비율이 높은 5개 시*별 고용률은 낮은 편이었다.
*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비율, 고용률): 과천시(44.4%, 52.9%), 용인시(35.8%, 54.6%), 수원시(30.5%, 59.5%), 성남시(30.3%, 59.1%), 의왕시(30.1%, 55.5%)
* 사무종사자(비율, 고용률): 과천시(27.3%, 52.9%), 안양시(23.9%, 57.9%), 고양시(23.1%, 55.9%), 의왕시(22.1%, 55.5%), 군포시(21.9%, 56.7%)
‘서비스·판매종사자’는 속초시(33.2%), ‘농림어업숙련종사자’는 신안군(72.8%),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는 거제시(39.6%), ‘단순노무종사자’는 울릉군(22.2%)이 가장 높았다.
월평균임금 200만원 이상 임금근로자 비율은 전년대비 2.1%p 상승했다.
전체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1,952만 9천명)를 임금수준별 비율로 살펴보면 100만원미만이 12.4%, 100만원~200만원미만이 35.0%, 200~300만원미만이 26.0%, 300~400만원미만이 13.7%, 400만원이상이 12.8%로 나타났다.
* 100만원미만, 100~200만원미만 비율은 전년대비 0.1%p, 2.0%p 각각 하락, 200만원이상 비율은 전년대비 2.1%p 상승했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
김유진
042-481-2271
-
2018년 1월 2일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