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HSK iBT 5회차, 16일 43개 고사장서 실시
서울 경기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서 컴퓨터로 중국어능력 테스트
대학 고사장은 강남대(용인시 기흥구), 창신대(경남 창원시), 인덕대(서울 노원구), 수원대(경기도 화성시), 동명대(부산시 남구), 신라대(부산시 사상구), 부산대(부산시 금정구), 인하공업전문대학(인천시 남구)에 마련된다.
HSK는 한어수평고시에서 중국어 병음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중국어능력 평가시험을 나타내는 약자다. 중국교육부 산하기관 한반(汉办)에서 주관하여 1~6급으로 나누어 실시하는 신HSK를 운영 중이다.
시험 종류에는 컴퓨터로 보는 iBT(internet base test) 방식과 지필로 보는 pBT(paper base test) 방식이 있다. 시험을 보는 시간이나 문제, 성적표는 모두 같다. 시험을 보는 방식만 다르다. 듣기와 독해, 작문에서 각 100점씩 준다. 총 점수 180점 이상이면 합격한다. 성적은 2년간 효력을 발휘한다.
HSK iBT를 관리하는 탕차이니즈에듀케이션코리아 원철훈 부사장은 “컴퓨터로 치르는 시험방식은 점수를 받기가 쉽다보니 매달 응시생이 급증한다”면서 “영어 토플과 마찬가지로 중국어도 지필시험에서 iBT 방식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HSK 정기시험 iBT 응시문의는 탕차이니즈에듀케이션코리아로 하면 되고, 자세한 정보는 탕차이니즈에듀케이션코리아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탕차이니즈에듀케이션코리아: http://www.hskkorea.or.kr
웹사이트: http://www.shinwoosung.com
연락처
탕차이니즈에듀케이션코리아
HSK IBT 사무국
원철훈 부사장
1666-9588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