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GSMA 보고서, L밴드 모바일 분배의 글로벌 경제 혜택 드러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나머지 세계와 나란히 전 세계적으로 조화된 밴드를 만들 기회

뉴스 제공
GSMA
2015-10-30 15:40
런던--(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가 세계전파통신회의(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WRC-15) 국제 조약 협상 중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L밴드 스펙트럼(1350-1400MHz/1427-1518MHz)의 식별로 실현할 수 있는 글로벌 사회 경제적 혜택을 요약하는 새 보고서를 발표했다.

플럼 컨설팅(Plum Consulting)에 의해 전개된 연구 “Global momentum and economic impact of the 1.4/1.5GHz band for IMT(IMT를 위한 1.4/1.5GHz 대역의 글로벌 모멘텀과 경제적 효과)”는 L밴드 주파수 범위 1427~1518MHz에서 전 세계적으로 거의 만장일치로 합의된 모바일 광대역 식별 의지가 있음을 강조한다.[1] 그러나 보고서는 단 12개 국가만이 현재 모바일을 위해 이 밴드의 중앙부(1452~1492MHz) 사용을 지원하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분열된 상황을 설명한다. 이러한 지원의 부족은 세계적으로 조화된 L밴드 스펙트럼이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술의 규모와 흡수의 경제를 방해하는 위협이 되고 있다.

존 주스티(John Giusti) GSMA 최고규제책임자는 “스펙트럼의 조화는 WRC-15의 주요 목표다”며 “WRC-15 시작까지 채 일주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이 급속히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고, 농촌 커버리지를 강화하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모바일 서비스 액세스를 추진하기 위해 L밴드 스펙트럼에서 자신의 위치를 검토하고 나머지 세계에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모바일 서비스가 1452~1492MHz에서 40MHz 스펙트럼의 액세스를 확보하는 것의 잠재적 경제 혜택이 전 세계적으로 400억 달러 이상에 달할 수 있다. 중요한 사실은 현재 밴드의 이 부분을 지원하지 않는 해당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그의 사용을 식별하도록 위치를 변경할 경우 추가 90억 달러의 경제적 기여가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L밴드 주파수의 특성상 건물 내부를 포함해 비교적 큰 영역에 걸쳐 추가 용량과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서비스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대역의 일부는 이미 전 세계 모바일 서비스에 분배되었고 나머지 부분은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위해 유보되었지만, 대체로 사용되지 않고 있어 더 넓은 모바일 분배를 위한 이상적인 근거를 마련한다. 40MHz의 중앙부는 이르면 2018~2020년에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이용될 수 있겠고 주변의 40MHz는 다른 서비스에 대한 제한된 간섭으로 2025년경에 많은 나라에서 이용이 가능해질 것이다.

일본을 필두로 아시아 태평양의 12개 지원 국가는 그들 국가에서 모바일 광대역을 위해 누락된 1452~1492MHz를 식별하기 위해 WRC-15에 공동 제안을 제출하고 있다. 이는 이 지역의 일부가 이 글로벌 대역에서 혜택을 얻게 되는 반면 나머지는 해당 혜택에 대한 시민의 액세스를 거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주스티는 “다른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이, 그것이 가져다 줄 막대한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 있도록 L밴드의 중앙부를 지원하는 이 제안에 참여할 것을 촉구한다”며 “더 넓은 L밴드를 지원하기 위한 WRC-15의 긍정적인 성과를 통해 국가 규제기관이 이제 국민의 수요와 기업이 필요로 하는 대로 이 밴드가 모바일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도록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로써 전 세계 정부가 향후 모바일 데이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고, 중요한 것은 모바일 광대역이 제공하는 상당한 사회 경제적 혜택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고 덧붙였다.

전체 보고서는 www.gsma.com/spectrum/1-5-ghz-band-for-imt/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이 대역의 지정은 ITU 1지역(러시아 및 독립국가연합 제외)과 2지역의 거의 모든 국가에서 지원된다.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 와이어 (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51029005059/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아바 라우(Ava Lau)(Hong Kong)
+852 2533 9928
alau@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