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4월 지역별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15.4월 종사자 동향
17개 시도별 종사자 동향
(종사자 현황) ’15.4월말 기준 종사자 1인 이상인 사업체의 종사자수는 서울시(3,972천명), 경기도(3,611천명), 부산시(1,049천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시(+10.5%), 전라북도(+2.6%), 부산시(+2.4%) 순임
※ 종사자는 상용근로자, 임시·일용근로자, 기타종사자로 구성됨
(노동이동 현황) 사업체 종사자의 노동이동을 보는 지표로서, 입직률은 광주시(4.6%), 전라북도(4.3%)가 높고, 이직률도 광주시(4.4%), 전라북도(3.8%)가 높게 나타남
전년동월대비 입직률 및 이직률이 크게 증가한 지역은 충청남도(입·이직률 +1.0%p)와 대전시(입·이직률 +0.7%p)로 나타남
▴ 입직률(%) = 입직자수/ ([조사기준월 종사자 + 조사기준전월 종사자]/2)×100
▴ 이직률(%) = 이직자수/ ([조사기준월 종사자 + 조사기준전월 종사자]/2)×100
시군구별 종사자 동향
(종사자 현황) ’15.4월말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수를 보면, 자치구는 서울시 강남구, 서초구, 중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지역은 경남 창원시, 경기 성남시 순으로, 군지역은 울산 울주군, 대구 달성군 순으로 많음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 증가율이 높은 자치구는 부산시 남구, 인천시 계양구 순이고, 시지역은 전남 나주시, 세종시 순이며, 군지역은 전북 완주군, 충북 음성군 순으로 나타남
※ 공공기관이 이전한 시군구 지역은 종사자수 증가율이 대체로 높게 나타남
(노동이동 현황) ’15.4월 입직률이 높은 자치구는 광주 서구(6.1%), 시는 전북 전주시(5.3%), 군은 전남 영광군(7.2%) 등이며, 전년동월대비 입직률이 크게 상승한 자치구는 대전시 대덕구(+2.7%p), 시는 경기 하남시(+2.2%p), 군은 전남 영광군(+3.7%p)으로 나타남
이직률이 높은 자치구는 광주 서구(5.6%), 시는 수원시(4.9%), 군은 전남 담양군(7.8%) 등이며, 전년동월대비 이직률이 크게 상승한 자치구는 대전시 대덕구(+2.6%p), 시는 경기 하남시(+1.8%p), 군은 경남 의령군(+4.8%p)으로 나타남
◇’15.4월 기준 시·도별 임금 및 근로시간
임금총액
'15.4월 16개 시·도별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을 보면, 울산시(4,230천원), 서울시(3,708천원), 전라남도(3,381천원) 순으로 높게 나타남
※ 울산시는 자동차·선박 제조 등 대규모 제조업체와 협력업체 밀집, 서울시는 고임금 업종인 금융·보험, 전문서비스업 등의 본사가 집중
울산시, 서울시, 전라남도, 충청남도는 전국 평균임금(3,305천원)보다 높았으며, 제주도(2,455천원)는 가장 낮게 나타남
전년동월대비 임금총액의 증가율은 충청북도(+3.9%), 대구시(+2.9%)가 높았으며, 제주도(-0.1%), 대전시(+0.4%), 충청남도(+0.9%) 등은 낮게 나타남
근로시간
'15.4월 16개 시·도별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을 보면, 충청북도가 195.5시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울산시(195.1시간)와 충청남도(194.4시간)가 그 뒤를 이음
근로시간이 짧은 지역은 서울시(180.0시간), 광주시(183.5시간), 대전시(186.0시간) 순으로 나타났음
근로시간의 전년동월대비 증감률은 울산시(+0.8%), 서울시(+0.6%), 충청남도(+0.5%) 순으로 높았으며, 광주시(-1.6%), 경상남도(-1.4%), 인천시(-1.0%) 순으로 낮게 나타남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분석과
정향숙 사무관
044-202-7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