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밸리, 산업·주거·복지 첨단융복합산업단지로 육성
단지별 특성을 살려 특화산업을 활성화하고 문화, 여가, 주거, 복지 등을 갖춘 첨단 융복합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는 지난 ’13년 ‘G밸리 飛上프로젝트’ 발표 후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심층적인 의견 수렴을 통해 ‘G밸리 종합발전계획, G밸리 飛上프로젝트 시즌 2’를 내놨다.
이번 ‘G밸리 종합발전계획’은 G밸리의 단지별 산업 여건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산업지원정책을 비롯해, 기업·근로자들이 지속적으로 요구한 문화·여가 공간 확충, G밸리 내 열악한 교통 및 도로문제의 획기적 개선 등이 주요내용이다. 이와 함께 G밸리내 산업지원 시설 확보 및 입체적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등의 장기 플랜도 담고 있다.
시는 지난 23일(금) 박원순 시장이 G밸리 주요 현장을 직접 방문해 기업인, 근로자, 전문가 등의 의견을 청취하고 공유했으며 그 결과를 이번 계획에 담아, 실질적인 검토 및 발전을 통해 11월 중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1. 단지별 산업특성 반영, 1·3단지 IoT 매개 융복합 지원…2단지는 패션메카로 활성화
첫째, 단지별 산업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산업 지원 정책을 펼친다.
다시 말해, ICT 등 지식기반산업이 밀집한 G밸리 1,3단지는 사물인터넷(IoT)을 매개로 융복합을 통해 제조업을 고도화한 클러스터로 본격적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IoT 기반확대 → 비즈니스모델 개발→ R&D·사업화 → 실증단지 조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대형 패션 아울렛이 모여있는 2단지는 패션산업 메카로 발전시킨다.
이를 위해 공동 마케팅 지원을 비롯해 쇼룸 상시 운영, 동대문·성동 등 기존 패션센터와 G밸리 연계를 통한 수주상담회 등 국내외 판로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G밸리 패션센터 지원권역을 영등포·서초·강남 등 남부권 봉제업체지원 권역까지 확대해 봉제와 패션산업의 균형발전 및 효율성도 높인다.
또한 1개 기업당 평균 고용인원 16.6명 정도의 중소업체가 대부분인 G밸리 기업들의 성장을 돕기위해 창업부터 R&D, 인력양성, 판로개척까지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산업 全주기 지원시스템’ 구축한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150억원 규모의 ‘G밸리 기업지원 투자펀드’도 조성한다.
이외에도 (舊)정수장 부지 개발과 연계, 창업공간 추가 확보, R&D센터를 설치, 산학협력단·공공연구기관 등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기업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인력도 양성해 산업발전에 가속도를 붙인다.
2. 2018년까지 녹지공간 39개소 21,200㎡ 확충, 청년휴게공간 확대·조성
둘째, G밸리내 16만 근로자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녹지를 비롯해 여가·문화·주거 등 지원시설을 강화한다.
G밸리는 다른 산업단지에 비해 지원시설이 매우 부족하고 특히 공원이 전혀 없는것이 현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공지 개선사업’을 통한 쉼터 조성, 옥상 녹화 및 텃밭가꾸기, 가로정원 등의 녹지공간을 G밸리 곳곳에 조성, ’18년까지 39개소 21,200㎡(총 49개소, 총 47,375㎡)를 추가로 확충한다.
또한, 현재 3단지에서 운영 중인 청년직장인들을 위한 네트워크 공간인 ‘무중력지대’를 ’17년까지 1단지에 추가로 조성해 G밸리 근로자들이 힐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중력지대는 쪽잠공간, 열린서재, 휴게카페, 나눔부엌 등으로 구성돼 있다.
아울러, ’19년 문을 열 근로자문화복지센터에 공연은 물론 동아리 활동 지원을 위한 문화·여가 공간을 설치하고, 현재 연 40회 가량 열리는 G밸리 거리공연(거리예술존, 버스킹공연)도 ’18년까지 2배로 늘려 가까이에서 문화공연을 즐길수 있도록 한다.
3. 국공립-직장혼합형 어린이집 5개소 설치, 기숙사형 임대주택 580세대 확충
셋째, 젊은 맞벌이 직장인이 많은 G밸리 특성을 반영해 2,3단지 내 국공립-직장 혼합형 어린이집 5개 추가로 설치, 아이 키우는 고민 없이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G밸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어린이집’ 단독설치가 어려운 경우 컨소시엄을 구성해 신청하면, 서울시·근로복지공단·자치구가 설치비를 분담하는 형태로 조성할 예정이다.
근로자들의 열악한 주거문제 해결에도 팔을 걷는다.
먼저 가리봉 도시재생지역 등 G밸리 주변지역에 주변시세 30~70% 수준의 저렴한 임대주택 580여 세대를 확충하고, 시비국비를 투입해 ’19년까지 G밸리 근로자문화복지센터를 건립, 주용도를 기숙사로 활용할 계획이다.
4. G밸리 교통·도로문제 근본적 대책 수립 추진, 전기차 공급 친환경 단지 조성
넷째, G밸리의 열악한 교통문제 해소를 위해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과 연계, 철산교 확장, 2~3단지를 연결하는 수출의 다리 고가램프 설치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며, ’18년까지 디지털3단지~두산길간 지하차도를 완공해 G밸리의 접근성과 단지간 이동성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G밸리의 열악한 교통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16년 관련 용역을 추진한다.
또한 개통 당시 일평균 이용객 9천명을 기준으로 설계되었으나 지난해 일평균 15만명으로 늘어 극심한 혼잡을 겪고있는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의 출입구 신설 및 기존 출입구 확충 사업도 ‘19년까지 마무리한다.
이와 함께 ’18년까지 G밸리내 기업 업무차량으로 전기차 1,000대를 보급·공유하도록 하고, ’16년에는 전기셔틀버스도 시범 도입하는 등 G밸리를 전기차 친환경 단지로 조성한다.
5. G밸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추진, 조례제정 추진
장기적으로는 ‘산업단지 실시계획(지구단위계획 포함)’을 수립, G밸리 문화·복지·교육·R&D시설 등 기업 및 근로자 지원시설을 현재 9.8%에서 최근 조성되고 있는 산업 클러스터 수준인 20%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산업단지 기반 및 산업지원시설 설치시 재정지원, 산업육성에 대한 체계적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산업단지 활성화 지원조례’제정도 추진해 G밸리의 미래틀을 변화시켜 나간다는 구상이다.
박원순 시장은 “금번 일자리대장정을 계기로 G밸리에 대한 적극적 지원 및 온수산업단지, 마곡단지 등과의 연계를 통해 산업공동체가 회복되고 명실상부한 서울의 미래성장 거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본부 산업거점조성반
홍기영
02-2133-4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