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넷의 ‘시큐어넷 이더넷’ 서비스, MEF ‘캐리어 이더넷 2.0’인증 획득
-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634개 항에 달하는 실험 완료
‘캐이러 이더넷’은 기업체들에게 최고 품질의 네트워크와 더욱 강화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MEF는 ‘캐리어 이더넷’의 수준을 정의하는 업계 연합체로서 네트워크 업체들의 서비스가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산업 표준에 부합하는지를 인증하고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업체들이 이 인증을 받으려면 MEF가 승인한 시험인증기관에서 실시하는 634개 항의 실험을 통과해야 한다.
자사 이더넷 네트워크 서비스를MEF CE 2.0 표준에 맞춰 조정하는 국제 네트워크 서비스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HK넷을 운영하는 NTT컴 아시아 리미티드의 패트릭 응(Patrick Ng) 글로벌 네트워크사업 부문 부사장은 “아시아 지역에서 우리의 ‘시큐어넷 이더넷’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게 많다. 이번에 받은 MEF인증은 회사의 네트워크가 세계적 수준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으로 고객들이 최고의 신뢰감을 갖게 한다. 인증 시험은 까다로웠지만, 네트워크 플랫폼 파트너인 사이언(Cyan)이 시험 평가 과정 전반에 걸쳐 제공한 전문적 지원에 힘입어 성공한 데 대해 사이언에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
HK넷의 ‘시큐어넷 이더넷’ 서비스는 MEF CE 2.0 인증을 받은 패킷-광 전송 플랫폼인 사이언의 ‘Z-시리즈’(Z-Series)와 사이언의 선도적 SDN 및 NFV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SDN and NFV Orchestration Platform)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사이언의 아벨 통(Abel Tong) 솔루션 마케팅 담당 이사는 “우리는 MEF산업 표준을 강력히 지지하는 회사로서 HK넷 같은 주요 사업자와 협력하여 최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품질이 우수하고 상호운영성이 더 높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기쁘다. 이번에 HK넷이 받은 CE 2.0인증은 모든 당사자들에게 틀림 없이 유익할 것이다”고 말했다.
HK넷은 ‘시큐어넷 이더넷’이 CE2.0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우수한 품질과 성능, 상호운영성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난 첸(Nan Chen) MEF 회장은 “전세계 업무용 통신량을 분석해 보면 이더넷이 다른 형태의 통신량을 모두 합친 것 보다 두 배 정도로 많다”면서 “HK넷과 사이언의 협력 관계는 ‘캐리어 이더넷’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하는 것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고 밝혔다.
HK넷의 ‘시큐어넷 이더넷’은 홍콩, 중국 본토, 대만, 캄보디아, 인도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아시아 지역을 포괄하는 완벽한 그물망 네트워크를 점대점으로 지원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http://www.hknet.com/en/services/network-services/securenet-ethernet.html에서 볼 수 있다.
NTT컴 아시아(NTT Com Asia) 소개
NTT 컴 아시아(NTTCom Asia)는 홍콩, 마카오, 대만 및 한국을 포괄하는 NTT커뮤니케이션즈의 동아시아지역 본사이다. 이 회사는 기업 내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호스팅, 전자상거래 솔루션, 관리형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홍콩에서 전액출자 자회사인 HKNet을 운영하고 있다.
더 상세한 정보는 www.ntt.com.hk | www.hknet.com | www.facebook.com/nttca | http://www.linkedin.com/company/ntt-com-asia-limited 에서 볼 수 있다.
HK넷 컴퍼니 리미티드(HKNet Company Limited) 소개
1994년 HK넷 컴퍼니 리미티드(HKNet Company Limited, HK넷)는 홍콩 인터넷 서비스 업계의 선구 업체다. HK넷은 2000년 NTT커뮤니케이션즈의 자회사가 됐으며 역내 기업을 위해 세계 수준의 ICT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HK넷의 핵심 ICT 서비스로는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호스팅, 매니지드 서비스 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http://www.hknet.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MEF 소개
MEF(메트로 이더넷 포럼)는 80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세계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및 기술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견인차로서 CE 2.0, SDN, NFV등 떠오르는 ‘제3 네트워크’(Third Network) 서비스를 뒷받침하는 ‘라이프사이클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Lifecycle Service Orchestration, LSO) 표준을 정의하는 업계 연합체이다. 세계 43개국에 있는 약220개 회원사로 구성된 MEF는 서비스 제공 업체, 네트워크 솔루션 업체 및 기타 관련 업체들이 긴밀히 협력하여 CE 2.0와 LSO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세계화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다.
MEF의 대표적 성과물은 CE 2.0으로서 이는 서비스, 장비 및 전문 인력 관련 사양, 운영 프레임워크 및 인증 프로그램 등을 포괄한다. 이들 프로그램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www.mef.net에서 볼 수 있다.
MEF는 ‘캐리어 이더넷’을 14년 동안 성공적으로 시행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효율적이고 자동화한 네트워크를 통해 민첩하고 안전하며 통합된 전혀 새로운 패러다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갖춘 LSO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MEF의 비전은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와 그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완전히 새롭게 변환하여 CE 2.0 수준의 성능과 보안 기능을 갖춰 수요가 발생하면 민첩하게 대응하고 어디에서나 연결할 수 있는 인터넷이 가능한 ‘제3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데 있다. ‘제3 네트워크’와 LSO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MEF의 ‘제3네트워크 비전 및 전략 백서’(Third Network Vision & Strategy White Paper) 및 ‘제3네트워크 LSO 비전 백서’(Third Network Lifecycle Service Orchestration (LSO) Vision White Paper)를 다운로드 받아서 볼 수 있다.
사이언(Cyan) 소개
사이언(Cyan)(뉴욕증권거래소: CYNI)은 네트워크를 새롭게 변환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회사의 네트워크 가상화 솔루션은 지금까지 고정된 하드웨어 중심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합하고 민첩성과 용량을 높여 준다. 전세계 통신 사업자, 기업체, 정부기관, 데이터 센터 등을 대상으로 사업을 펼치는 사이언은 네트워크 사업자들이 여러 업체의 제품과 다중 계층을 제어하고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더 효율적이고 수익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회사의 솔루션은 상을 수상한 ‘블루 플래닛 SDN 및 NFV’(Blue Planet SDN and NFV)소프트웨어, ‘Z-시리즈’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및 ‘N-시리즈’ 하드웨어 플랫폼 등이다. 더 자세한 정보는 www.cyaninc.com 이나 twitter.com/CyanNews에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50709005431/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hknet.com
연락처
HK넷(HKNet)
NTT컴 아시아(NTT Com Asia Ltd)
일레인 응(Elaine Ng)
+852-3793-0228
elaine.ng@ntt.com.hk
프리실라 쿽(Priscilla Kwok)
+852-3793-0937
priscilla.kwok@ntt.com.hk
오길비 퍼블릭 릴레이션즈(Ogilvy Public Relations)
하워드 존스(Howard Jones)
2884-8224
howard.jones@ogilvy.com
바톤 추이(Barton Chui)
2884-8187
barton.chui@ogilvy.com
사이언(Cyan)
조 큐멜로(Joe Cumello)
+1-410-227-7487
joe.cumello@cyaninc.com | @JCumello
이 보도자료는 HKNet Company Limited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