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AZ 온글라이자, 시타글립틴과의 후향적 관찰연구에서 심부전 입원 위험도 차이 없어”
- 제75회 미국당뇨병학회에서 미국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한 새로운 후향적 관찰연구 결과 발표
- 온글라이자와 시타글립틴의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도 비교 결과, 양자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번 연구는 2010년 8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집계된 미국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했으며, 과거 심혈관 질환(CVD ) 병력이 있는 환자들과 없는 환자들을 나누어서 분석했다.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에 대한 삭사글립틴과 시타글립틴 투여군 간 비교 분석에는 100,000명 이상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CVD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위험비(HR )는 0.99(95% CI, 0.56-1.75), CVD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위험비는 0.95(95% CI, 0.70-1.28)로, 양자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PP-4 억제제와 설포닐우레아 제제 투여군 간 비교에는 200,000명 이상의 환자가 포함됐다. CVD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위험비는 0.59(95% CI, 0.38-0.89), CVD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위험비는 0.95(95% CI, 0.78-1.15)로, 역시 위험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CVD 병력이 없는 상태에서 DPP-4 억제제를 투여한 환자들의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을 포함해 급성 심근경색, 뇌졸중, 불안정 협심증 등 복합적인 CVD 발생 위험도를 알아본 이차 분석 결과도 일차 분석 결과와 일치했다.3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미국 조지타운대 메디컬센터 알렉스 푸(Alex Fu) 부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DPP-4 억제제의 심혈관 안전성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특히, 삭사글립틴이 타 DPP-4 억제제와 비교해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 증가와 관계가 없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라고 말했다.
온글라이자는 DPP-4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인크레틴 호르몬의 활동을 촉진하는 DPP-4 억제제이다. 제2형 당뇨병 환자 치료를 위해 식사 및 운동과 더불어 사용될 수 있는 혈당조절 개선제로 2011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사용 허가를 받았다.
Disclaimer
현행 약사법령에 따라, 전문의약품의 식약처 허가 외 사항에 대한 효능 효과 광고는 금지 되고 있습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질환과 의약품 및 치료동향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기술된 위 사실 외 기자님의 자유와 책임에 의해 게재되는 기사에 대한 책임이 없음을 밝힙니다.
웹사이트: http://www.astrazeneca.co.kr
연락처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허재원 과장
02-2188-0868
홍보대행
커뮤니케이션 웍스
AZ 당뇨병사업부팀
백훈 부장
02-518-8672
정민정 AE
070-7122-8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