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5네트웍스, 프로스트 앤 설리반과 공동 연구로 클라우드 관련 의사결정 및 운영의 진화를 A-B-C-D 프레임워크로 정의

- 아태지역 6개국 조사, 아태지역기업들 클라우드 컴퓨팅 최우선적으로 고려

- 다수 한국 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또는 계획 및 실행 단계에 있는 것으로 응답

서울--(뉴스와이어)--F5네트웍스 (NASDAQ: FFIV) 는 최근 세계적인 시장조사 기관인 프로스트 앤 설리번과 함께 공동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새로운 언어”라는 제목의 백서를 발표했다.

동 백서는 아태지역 6개국(대한민국 및 호주, 중국, 홍콩, 일본, 싱가포르)의 정부기관, e커머스, 은행·금융 서비스·보험업계(BFSI) 의사결정권자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어떻게 논의하고 평가하며 이행하고 있는 지와 함께 그 변화 추이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해당 백서는 현재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네 가지 요소를 A-B-C-D 프레임워크로 개념화하여 제시했다.

(A) 애플리케이션: 기업들은 ‘전사자원관리(ERP)’ 및 보안과 같은 임무 수행에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해 전략적이고 핵심 업무를 점점 클라우드로 아웃소싱하고 있다.

(B) 비즈니스 의사결정권자: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획과 조달분야에서 비 IT분야의 의사결정권자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C) 고객: 클라우드 채택에 대한 논의의 중심이 비즈니스 중심에서 어떻게 하면 클라우드 서비스가 고객들을 위한 가치와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는 고객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D) 방어: 68%의 응답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채택할 때 보안이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응답함으로써, IT 환경에서 보안과 개인정보보호는 여전히 중대한 사안임을 증명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아태지역 기업들의 의사결정권자들 중 58.6%가 향후 12개월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사항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꼽았으며, 이 중 91%의 기업들은 이미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거나 계획 또는 실행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 중 많은 수인 47.4% 에 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채택한 기업들은 기존 IT셋업을 보완하는 목적으로 이용하는 반면, 24.9%는 기존 IT 환경의 개선을 목적으로, 20.7%는 기존 IT 환경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법률을 최초로 제정하며, 지역과 중앙 정부,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국내 기업의 96.7%가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에 따른 차이점에 대해 “매우 해박한” 또는 “어느 정도 알고 있음”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다른 국가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선 28% 이상의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65%는 계획 및 실행 단계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대부분의 기업들은 핵심 비즈니스 역량에 주목하고, 효과적인 고객 참여에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을 고려하고 있었다. 반대로 비용절감, 온디맨드 기능과 같은 전통적인 클라우드 혜택은 대한민국 기업들에게 더 이상 주요 고려사항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많은 기업들이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현하고 있었다.

F5네트웍스 엠마누엘 보나시(Emmanuel Bonnassie) 아태지역 영업총괄 선임부사장은“사실상 모든 조직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현재 사용하고 있거나 채택 과정에 있으며, 실질적인 비즈니스 혜택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클라우드에 대한 이해 및 의사결정이 빠르게 성숙해지며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안, 관리 및 가시성을 유지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민첩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IT 환경의 장점에 대한 논의가 지난 몇 달 동안 증가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이브리드 인프라를 완벽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IT 사일로(silos)는 반드시 해체되어야 하고, 애플리케이션 및 지원 서비스는 인프라로부터 반드시 개념화되어 하이브리드 환경의 다양한 부분에서 매끄럽고 자동적으로 제공되는 동시에 비즈니스에 더욱 뛰어난 민첩성, 확장성 및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가 단지 비용 절감 외에 특히 비용 투자 또는 기타 리스크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실험을 도모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실질적인 장점을 가져온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명 중 3명의 의사결정권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더 신속한 시장 진출과 경쟁력 강화”를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이라고 응답한 반면, 응답자의 70%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모든 비즈니스 혁신 전략에 있어 중대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F5의 이번 백서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지능적이며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을 통해 무한한 자원 풀과 유사해짐에 따라, SDE(Software-Defined Everything) 및 이와 관련한 새로운 기술들이 자동화 환경에 대한 관리 요구를 최상으로 충족시켜 줄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해당 백서는 나아가 모든 요소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XaaS(Everything as a Services) IT 환경이 기술이 소비되던 방식을 확실히 붕괴시키고 궁극적으로 전체 산업을 변형시키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고취할 것으로 예측했다.

추가 자료
BIG-IQ 클라우드 데이터시트
“클라우드 컴퓨팅의 새로운 언어” 백서
“BIG-IQ 클라우드로 클라우드 운영” 백서
클라우드를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및 자동화
BIG-IQ 소프트웨어 정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 동영상

F5네트웍스 소개
F5 (NASDAQ: FFIV)는 애플리케이션 세상을 위한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F5는 고객들이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통신사업자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를 매끄럽게 확장해,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든 성공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F5의 솔루션은 개방형의 확장 가능한 프레임워크, IT 기술 및 통합을 선도하는 회사들로 이루어진 광범위한 파트너 생태계를 통해 IT 기술이 더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도록 만든다. 이러한 접근법은 고객들이 장기간에 걸쳐 자신의 필요에 가장 적합한 인프라를 추구할 수 있도록 만든다. 세계 최대 규모의 비즈니스, 서비스 제공업체, 공공기관, 그리고 소비자 브랜드들이 클라우드, 보안 및 모빌리티 트렌드에서 앞서나가기 위해 F5를 찾는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f5networks.co.kr/에서 구할 수 있다. F5와 파트너, 그리고 기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트위터 @f5networksapj 또는LinkedIn 및 Facebook을 통해서도 구할 수 있다. F5 커뮤니티 사이트의 전체 목록은 www.f5.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F5, F5 BIG-IQ, and DevCentral는 미국 및 기타 국가에서F5 네트웍스의 등록상표 또는 서비스상표이다.

웹사이트: http://www.f5.com

연락처

F5 네트웍스 홍보대행
SMC 배민경
02-3445-3283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