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산하 다코, 셀시그널링테크놀로지와 동반 진단 분야 협력 발표

글로스트럽, 덴마크--(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Agilent Technologies) 산하 사업부이자 세계 굴지의 암 진단 전문업체인 다코(Dako)와 세계 유수 항체 공급사인 셀시그널링테크놀로지(Cell Signaling Technology, 이하 CST)는 양사가 다코 브랜드의 동반 진단 제품에 사용될 항체 공급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야곱 타이센(Jacob Thaysen) 애질런트 진단/게놈 그룹(Diagnostics and Genomics Group) 대표는 “CST와 암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도구가 될 고품질의 첨단 동반진단 제품 개발에 협력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동반 진단 시장은 점차 성장하고 있다. 맞춤 의학의 환자 치료 성과가 향상되고 특히 암 치료 분야 등 특정 치료로 더 많은 유익을 얻을 수 있는 개인에 대한 치료를 표적화함으로써 의료 비용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이날 발표는 앞서 동반 진단 분야에서 다수 협력 협약을 체결한 데 뒤이은 것이다. 애질런트의 다코 사업부문은 화이자(Pfizer),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Bristol-Myers Squibb), 머크앤코(Merck & Co.), 암젠(Amgen), 엘리 릴리(Eli Lilly) 등의 기업과 성공적인 장기 협력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마이클 J 콤(Michael J. Comb, http://goo.gl/4DxaaZ) CST 최고경영자(CEO)는 “CST는 동반 진단 제품에 암환자 진단 및 치료를 개선할 수 있는 막대한 잠재력이 있다고 본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 제품이 맞춤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양사 협력의 상세 재무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About Cell Signaling Technology) 소개

1999년 연구 과학자들에 의해 설립된 CST는 전세계 4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는 민간 가족 기업이다. 암과 연관이 된 응용 시스템 생물학 부문에서 활발히 활동중인 CST는 높은 특이성과 일관성 있는 로트(lot) 품질의 항체 사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알고 있다. CST는 모든 항체를 직접 사내에서 생산하며 여러 곳에서 응용될 수 있도록 힘든 확인 절차를 거친다. 우리의 항체를 생산해 내는 CST의 과학자들이 기술적 지원을 제공해 고객들이 실험을 설계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CST는 BSI(영국표준협회)로부터 단일 클론 항체의 설계, 개발 및 생산에 있어 ISO 9001:2008 인증을 준수하고 있음을 증명 받았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 www.cellsignal.com 참조.

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Agilent Technologies) 소개

생명과학, 진단, 응용 화학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Agilent Technologies Inc.)(뉴욕증권거래소: A)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최고의 연구 파트너다. 애질런트는 세계 100여 개국 고객과 협력하며 전체 연구 작업 흐름을 위한 도구,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소모품을 제공하고 있다. 2014 회계연도 매출은 40억 달러에 달했다. 이 회사는 전 세계에서 약 1만2000명의 직원과 함께 하고 있다. 애질런트는 지난 2012년 정확한 진단과 암환자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을 결정하도록 뒷받침하는 시약, 도구, 소프트웨어 및 전문기술을 제공하며 이름을 얻어 온 다코(Dako)를 인수했다. 애질런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애질런트 웹사이트(www.agilent.com)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코 제품에 관한 정보는 다코 웹사이트(www.dako.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셀시그널링테크놀로지(Cell Signaling Technology®)와 CST™는 셀시그널링테크놀로지(Cell Signaling Technology, Inc.)의 상표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cellsignal.com

연락처

애질런트(Agilent)
마이아 프레토프트 쇠힝(Maia Fredtoft Søchting)
+45 2546 1083
maia.sochting@agilent.com

셀시그널링테크놀로지(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레베카 J 레푸치(Rebecca J. Reppucci), MBA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이사(Director of Marketing Communications)
+1 978-867-2382
marketingpr@cellsignal.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