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주의보 발령

서울--(뉴스와이어)--지난달 23일 전북 김제에서 갈색날개매미충 약충의 최초 부화가 확인됐고 이달부터 부화약충과 어린약충의 활동이 급격히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각종 나무 재배농가의 근심거리가 되고 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밤나무, 감나무, 대추나무, 산수유, 왕벚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한 수종을 흡즙해 수세약화, 그을음병, 심할 경우 고사 등을 일으킨다. 2011년 전남 구례의 산수유, 2012년 충남 공주의 밤, 복숭아, 배, 사과 재배농가는 이 해충에 의한 집단적 피해로 곤혹을 치른 바 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은 재배농가의 피해를 줄이고자 산림병해충 방제규정에 따라 지난 5일, 전국에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주의보를 발령했다. 주의보는 일부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해 확산이 우려될 경우 발령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은 밀도가 높은 서쪽 내륙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돼 기존 발생지 연접지역, 특히 밤 재배 주산단지에서는 예찰 활동을 강화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갈색날개매미충 방제용으로 등록된 농약은 없으나 방제가 필요한 경우, 델타메트린 유제, 아세타미프리드·에토펜프록스 수화제, 디노테퓨란·에토펜프록스 수화제, 디노테퓨란 입상수용제,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디노테퓨란 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를 사용하면 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고상현 박사는 “갈색날개매미충은 5월 중순경부터 부화하기 시작하고 약충은 4번의 탈피를 거쳐 7월 중순에 성충이 된다”며 “재배농가는 어린 약충이 급증하는 지금부터 철저히 주의를 기울여야 방제 효과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지역은 세종·경기(고양, 양주)·충북(옥천, 진천)·충남(공주, 예산, 서산, 아산, 청양, 홍성, 보령, 천안)·전북(김제, 순창, 남원, 완주, 임실, 전주, 익산)·전남(구례, 순천, 곡성) 등이다.

국립산림과학원 개요
1922년 임업시험장으로 출발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 임업, 목재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산림청 산하 국가연구기관이다.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산림강국의 실현을 위한 산림과학지식·기술의 개발과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 홍릉터에 산림정책연구부, 산림보전부, 임산공학부 등 3개부가 위치하고, 산림유전자원부는 경기도 수원, 3개 연구소는 각각 경기도 남양주(산림생산기술연구소), 경남 진주(남부산림연구소), 제주도 서귀포(난대산림연구소)에 자리 잡고 있다. 한편 개발된 산림과학기술의 현장 실연을 위하여 시험림과 묘포 5,140ha를 보유하고 있다. 산림청 산림정책국장 출신인 윤영균 청장이 2013년부터 산림과학원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nifos.forest.go.kr/

연락처

국립산림과학원
고상현
02-961-266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