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5주 매매시황… 대책 약발 떨어진 수도권, 꾸준한 상승세 지방

- 전국 -0.05%, 서울 -0.08%, 수도권 -0.09%, 5대 광역시 0.02%, 도지역 0.03%, 세종시 0.78%

서울--(뉴스와이어)--전국 아파트값이 6주 만에 하락했다. 부동산뱅크 조사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8주 만에 -0.08%로 하락했다. 이어 수도권 -0.09%, 광역시 0.02%, 도지역 0.03%, 세종시 0.78% 등의 순이었다. 서울의 경우 4.1대책의 약발이 떨어지면서 집값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강남권으로 집중됐던 관심이 떨어지면서 서울 전반적인 집값도 하락했다.

<서울/ 수도권>

서울에서는 구로구 0.07%, 양천구 0.07%, 서초구 0.06%, 노원구 0.05%, 마포구 0.04% 등의 집값이 올랐다. 이어 강북구 0.00%, 강서구 0.00%, 관악구 0.00% 등은 보합이었다.

한편 중구 -0.53%, 송파구 -0.28%, 성북구 -0.26%, 성동구 -0.26%, 금천구 -0.23%, 동대문구 -0.11%, 종로구 -0.08%, 용산구 -0.07%, 강동구 -0.07%, 중랑구 -0.04%, 서대문구 -0.02%, 동작구 -0.02%, 광진구 -0.02%, 강남구 -0.02%, 은평구 -0.01%, 영등포구 -0.01%, 도봉구 -0.01% 등은 약세를 보였다.

재건축 아파트 가격도 영등포구 0.25%, 용산구 0.11%, 서초구 0.08% 등이 올랐다. 반면 강동구 -0.61%, 강남구 -0.27%, 송파구 -0.22% 등 상반기 상세였던 지역들은 하락폭이 높았다.

이처럼 집값이 하락한 이유는 매수자와 매도자간 눈높이가 다르다는 점이 크다. 매도자 입장에서는 대책 발표 후 호가를 올린 반면, 매수자들은 급매 위주로 매물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또 분양, 일반주택 등으로 수요가 분산되는데다 1주택자 물건만 매입이 가능해야 양도세를 감면 받는다는 제한적인 규제도 영향을 미쳤다고 현장관계자들은 전한다.

경기도에서는 김포시 0.16%, 연천군 0.06%, 화성시 0.05%, 수원시 0.04%, 양주시 0.04%, 남양주시 0.03%, 광명시 0.02%, 안양시 0.02%, 고양시 0.01%, 의정부시 0.01%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이어 가평군 0.00%, 동두천시 0.00%, 안성시 0.00%, 양평군 0.00%, 여주군 0.00%, 오산시 0.00%, 포천시 0.00%, 하남시 0.00% 등은 보합이었다.

이밖에 파주시 -0.43%, 성남시 -0.42%, 용인시 -0.36%, 광주시 -0.18%, 안산시 -0.06%, 이천시 -0.04%, 시흥시 -0.04%, 부천시 -0.04%, 과천시 -0.04%, 의왕시 -0.02%, 군포시 -0.02%, 구리시 -0.02%, 평택시 -0.01% 등은 집값이 하락했다.

인천시에서는 부평구 0.01%, 연수구 0.00%, 동구 0.00%, 계양구 0.00%, 강화군 0.00%, 남구 -0.10%, 중구 -0.21%, 남동구 -0.27%, 서구 -0.44% 등의 순이었다.

1기 신도시도 평촌이 0.11%로 올랐고 일산 0.00%, 산본 -0.03%, 분당 -0.08%, 중동 -0.11% 등으로 불황을 이어갔다.

<5대 광역시>

5대 광역시에서는 대구시가 0.07%, 부산시 0.01%, 울산시 0.00%, 광주시 0.00%, 대전시 0.00% 등의 순이었다.

대구시에서는 달성군이 0.27%로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달서구 0.21%, 동구 0.05%, 북구 0.02%, 남구 0.00%, 서구 0.00%, 수성구 0.00%, 중구 0.00% 등이었다.

부산시에서는 서구가 0.09% 올랐고, 해운대구 0.02%, 강서구 0.00%, 금정구 0.00%, 기장군 0.00%, 남구 0.00%, 동구 0.00%, 동래구 0.00%, 부산진구 0.00%, 북구 0.00%, 사하구 0.00%, 수영구 0.00%, 연제구 0.00%, 영도구 0.00%, 중구 0.00%, 사상구 -0.02% 등을 기록했다.

광주시에서는 남구가 0.01% 올랐고, 광산구 0.00%, 동구 0.00%, 북구 0.00%, 서구 0.00% 등의 순이었다. 대전시는 대덕구 0.00%, 동구 0.00%, 서구 0.00%, 유성구 0.00%, 중구 -0.01% 등을 기록했고, 울산시에서는 남구 0.01%, 동구 0.00%, 북구 0.00%, 울주군 0.00%, 중구 -0.01% 등으로 대부분 보합이었다.

개별 아파트로는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두산위브포세이돈 공급 138㎡가 5억 3,000만 원으로 전 주에 비해 6,500만 원이 올랐고, 148㎡는 5,000만 원 오른 5억 5,000만 원에 매물이 나왔다. 또 대구시 달서구 성당동 제림하이츠 92㎡는 1,500만 원 오른 1억 3,750만 원에 시세가 형성됐고, 광주시 남구 봉선동 쌍용스윗닷홈 151㎡는 3억 7,000만 원으로 전주 대비 1,000만 원이 올랐다.

<도지역>

도지역에서는 경상북도가 0.13%, 경상남도 0.02%, 충청남도 0.02%, 강원도 0.00%, 전라남도 0.00%, 전라북도 0.00%, 제주도 0.00%, 충청북도 0.00% 등의 순이었다.

대부분 보합을 보인 가운데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상북도 칠곡군이 1.26%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경상북도 경산시 0.39%, 경상남도 창원시 0.33%, 충청남도 아산시 0.09%, 경상북도 구미시 0.09%, 경상남도 양산시 0.01%, 경상북도 포항시 0.01% 등의 순이었다.

개별 아파트로는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현진에버빌 공급 122㎡가 1000만원 오른 2억8000만 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이어 경상북도 경산시 중평동 건영캐스빌 공급 82㎡가 전주에 비해 900만원 오른 1억535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인평화타운 공급 105㎡도 2000만원 오른 1억1250만원에 거래되며 상승폭이 높았다.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대우푸르지오 공급 112㎡는 1000만원 오른 2억3000만원에 매물이 나왔고, 세종특별시 조치원읍 주공아파트 102㎡도 2250만 원 오른 1억5500만원에 거래가가 형성됐다.

세종시의 경우 기존 아파트들은 조치원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세종시 시범단지에 비해 편의시설 및 인프라 등이 잘 갖춰져 있는데다 아파트값도 저렴해 찾는 사람들이 많다고 현장관계자들은 전한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