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없는 노니·울금 발효식품으로 당뇨·지방간 잡는다
- 한국식품연구원, 고체발효기술로 노니·울금의 혈당 상승 억제효과·간 기능 개선 효과 입증
남태평양이 원산지인 식물 노니는 항당뇨 활성물질인 우르솔릭산(ursolic acid)을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팀이 고체발효기술을 통해 발효시킨 노니는 우르솔릭산이 원료 대비 2배 증가하였고, 약재인 메트포민과 유사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질환모델(KKAy 마우스, 제2형 당뇨실험쥐)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3개월간 발효노니를 0.4% 주입시킨 결과, 혈당상승을 강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시험기간 혈당변화: 대조군 272에서 391 mg/dL로 증가, 발효노니 200 ~ 250 mg/dL로 초기혈당치 유지) 할 수 있었다. 이는 PPAR-γ전사활성 증가 및 AMPK 활성화를 통한 근육내로의 포도당 흡수율 촉진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팀은 고체발효 기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울금이 지방간 억제 및 간 독성 해독 작용이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생강과 식물인 울금은 커큐민(curcumin)이 주성분으로 인체 흡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지만 연구팀은 커규민 화합물이 발효에 의해서 흡수율이 높은 형태의 디아릴헵타노이드(diarylheptanoids)로 구조전환 되는 것을 규명하였다.
동물실험을 통해 5주간 0.4% 발효 울금을 섭취시킨 결과, 간 조직내 총지질 48%, 중성지방이 42% 감소하여 지방간 생성저해 효과와 독성물질에 대한 간 해독작용을 확인(8주간 0.4% 섭취 시, 혈청 내 ALT 30%, AST 25% 감소) 하였다. 이러한 간 기능 개선 활성은 울금 발효식품 섭취에 따른 간 조직에서의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시토크롬 p450(CYP450)의 유전자 발현 증가와 관련 있음을 밝힌 것이다.
현재 노니, 울금 발효식품의 제조기술은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하였으며, 관련 연구결과는 SCI 저널인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게재하였고, 참여기업인 (주)건농네이처에 기술이전 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부작용 없는 천연물로부터 당뇨과 간질환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산업화를 통해 당뇨의 예방 및 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성일 박사는 “한국인의 10대 사망원인 순위 5위와 6위인 당뇨, 간질환의 개선에 기여하고, 연간 400만명의 당뇨병 환자 진료비가 1조 6천억(2010년 기준)임을 감안할 때 국민건강증진은 물론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액 2조 5천억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한국식품연구원 개요
한국식품연구원은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식기반의 식품분야 산업원천기술 개발을 위하여 대사기능, 기능소재, 식품발효 연구를 수행하며, 농림수산업과 식품산업의 동반 발전을 위한 식품의 안전유통, 전통식품의 세계화, 식량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 전략목표 달성에 필요한 공공기반기술 구축을 위하여 다양한 산업지원체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구원은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창조선도형 기술개발을 통해 글로벌 연구 경쟁력을 확보하고 BT, IT, NT, ET, CT 등과의 융합기술을 개발하여 국가 식품산업의 미래를 개척함으로서 국내외 첨단식품과학기술의 선도기관이 되기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kfri.re.kr
연락처
한국식품연구원
홍보담당 정달영
031-780-9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