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대한민국은 ‘문예지 춘추전국시대’
- 다양한 성격의 문예지들 군립으로 문예지 시장 팽창
- 건실한 문예지들 공공지원 필요한 시점
대형 출판사의 경우 문학상을 운영하고 수상작을 출간하여 베스트셀러를 만들어내기도 하는 체제여서 저자관리 차원에서도 경제적으로 손해볼 것 없는 장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소출판사의 경우는 오로지 문학을 사랑하고 문단을 바로세우겠다는 일념으로 문예지를 출혈 발행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중 하나가 최근 10호 기념호를 낸 계간 <예술가>이다. 중견 출판사 토담미디어에서 2010년 부터 발행하고 있는 시 전문지 계간 <예술가>는 저명한 시인들의 작품에서부터 갓 등단하여 의욕 넘치는 신인들의 작품도 과감히 게재하고 있는 것은 물론 그동안 깊이 있는 평론을 통해 우리나라 문학 담론을 주도해오고 있다. 우리 평단을 탄탄하게 받치고 있는 최준, 김석준, 고봉준, 이성혁, 송기한, 고명철, 백인덕, 조동범, 강정구, 이창남, 권선형, 진순애, 박기현, 이만식, 김윤정 등의 쟁쟁한 평론가들이 그렇다.
특히 주목 받는 점은 신인 발굴이다. 그동안 6명의 신인을 냈다면 그리 부지런한 편은 아니지만 신인들 모두 주목받는 행보를 보이고 있어 계간 <예술가>의 곳간을 든든하게 채워주고 있다. 이들로 인해 계간 <예술가>는 비슷한 지점에 위치하는 많은 문예지들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이런 내실 있는 문예지들이 우리 문단의 중추 역할을 맡아 내일의 문학을 키워나가는 것을 전제로 할 때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들이 대형 잡지에 밀리고 등단장사하는 문예지들과 섞여 버린다면 우리나라 문단의 커다란 손실이기 때문이다. 모처럼 문예지의 중흥기를 맞아 선순환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으려면 어떻게든 이들을 살려나가야 한다.
어려운 환경이지만 최선을 다 하면 길이 보이리라는 이들의 희망을 꺼트리지 않으려면 공공지원기금 등의 집행에서 이들과 작가들에게 최소한의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토담미디어 개요
2013 한국일보 선정 대한민국 미래우수 혁신기업
http://book.interpark.com/product/BookDisplay.do?_...
웹사이트: http://www.todammedia.com
연락처
토담미디어
기획실
홍순창 실장
02-2271-3335, 010-3936-0268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