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연구현장의 고민해결 위해 과학기술인과 함께하는 ‘필통(必通)톡(Talk)’ 개최

- 리서치 펠로우 지원사업 하반기 신규착수…‘13년부터 2배 이상 확대 지원 예정

-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지고 있는 젊은 과학자들. 밤낮 실험실에서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그들은 어떤 꿈과 고민을 가지고 있을까

서울, 포항--(뉴스와이어)--교육과학기술부 이주호 장관은 8.3(금) POSTEC(포항공대)에서 교과부의 대표적 현장소통 프로그램인 ‘필통(必通)톡(Talk)’을 통해 대학연구 현장과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날 행사는 ‘젊은 과학기술인 고민 나누기’라는 주제로 POSTEC, UNIST(울산과학기술대),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 영남지역 석·박사학생 300여명이 참여한다.

사전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젊은 과학자가 참여할 수 있는 연구과제 지원, 순수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 강화, 대학의 전문 연구인력 확대, 과학기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등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졸업 후 진로와 일자리 등 미래에 대한 고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행사의 패널로 나선 이주호 장관, 한국연구재단 이승종 이사장, 이석우 펜타시큐리티시스템 대표이사, 김승환 포항공대 연구처장, 곽영신 울산과학기술대 교수가 학생들과 직접 고민을 나누고 해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이주호 장관은 현 정부 과학기술 정책의 핵심인 창의·융합·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젊은 석·박사 학생들이 생활에 대한 걱정 없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임을 약속하고, 연구자들에게는 “창의적·도전적 연구를 통해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가 되어달라”고 당부할 예정이다.

교과부에서는 대학생부터 석박사과정 및 신진연구자에 이르기까지 GPS(Global Ph.D Scholarship) 시스템을 통해 장학금, 국내외 연수, 연구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열심히 노력하는 연구원들에게는 충분한 연구기회가 주어질 것이라고 설명할 예정이다.

또한 학생들이 행정부담에서 벗어나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올해부터 개인 소규모 연구과제에 대해 한국형 Grant 제도를 통해 결과보고서 제출 및 정산간소화, 결과평가 생략 등 행정부담을 계속 줄여나가고 있음을 소개한다.

과학기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와 관련하여 과학기술인의 생활 안정화, 연구환경 조성도 중요하지만 “과학기술계가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갖고 문제해결에 적극 앞장서야 하며, 무엇보다 좋은 성과를 통해 사회와 교감해 나가야함”을 강조할 것이다.

젊은 과학도들의 최대 고민인 불확실한 일자리와 미래 문제에 대해서는 정책적인 해결책을 제시함과 동시에 패널들의 현장경험에서 우러난 조언을 후배들에게 들려줄 계획이다.

이주호 장관은 대학 내 계약직 박사연구원의 안정적인 연구환경이 보장되어야만 대학의 연구역량이 향상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올해 ‘리서치 펠로우’ 제도를 도입하여 3년 이상 중장기 계약, 월 300만원 이상의 보수 등 박사연구원의 처우를 대폭 개선하였음을 소개한다.

금년 상반기까지 32개 대학에서 283명을 리서치 펠로우로 고용 하였으며, 앞으로 교과부 대형 R&D 사업과의 연계를 강화해 대학의 리서치 펠로우 고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리서치 펠로우가 연구책임자가 되는 연구지원 사업(50억원, 과제당 5,000만원, 3년 내외)을 신설하여 9월부터 100여명의 리서치 펠로우를 지원할 예정이며, ‘13년부터 2배 이상 확대하여 박사연구원의 독립적 연구수행 기회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것이다.

곽영신 교수는 여성과학자로서 어떻게 결혼·출산 등으로 인한 경력 단절을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며, 이석우 대표는 창업을 통해 전문경영인으로 성공한 생생한 경험담과 함께 취업과 창업의 기로에서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경영에 필요한 기술보다는 자신만의 명확한 가치관과 사업에 대한 강력한 동기가 중요함을 강조한다.

이 밖에도 많은 학생들이 지적하고 있는 대학연구실의 권위적인 분위기와 학생의 과중한 업무 부담, 교수와 학생의 관계 개선에 대해 패널과 학생들 간의 솔직한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갈 예정이다.

과학기술인과 함께하는 필통톡 행사 결과는 유투브 등을 통해 다시 볼 수 있으며, 자세한 일정은 교과부의 필통톡 홈페이지(www.필통톡.kr)를 참고하면 된다.

< 과학기술인과 함께하는 필통톡 행사 개요 >

일시/장소 : 2012년 8월 3일(금) 14:30~16:00 / POSTEC(포항공대) 국제관
※ 토크콘서트 전 POSTEC 김기문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과의 간담회 예정

주 제 : 젊은 과학기술인의 고민 나누기

사회자/초대손님 : 장관님, 유정아 아나운서, 이승종 연구재단 이사장, 이석우 펜타시큐리티시스템 대표, 김승환 POSTEC 연구처장, UNIST 곽영신 교수

참석자 : POSTEC, UNIST, DIGIST 등 인근지역 대학 교수·학생 300여명

세부 일정(안)
- 사전 공연 : 아카펠라 그룹 ‘윈더풀’ 공연
- 패널 소개 및 과학기술정책 일반 소개
- <주제1> 연구자 중심의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
- <주제2> 이공계 좋은 일자리 창출 방안
- 정리 및 마무리(사회자/장관/초대 손님)

팔통톡: http://www.필통톡.kr

웹사이트: http://www.moe.go.kr

연락처

교육과학기술부
이지은 사무관
02-2100-6630

필통톡 홍보대행
아츠플레이
조진희 주임
010-9241-6741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