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프로그래밍 언어 data-p 개발 성공

- C야 , Java야, 게 섰거라

서울--(뉴스와이어)--컴퓨팅 분야의 한 연구가(최시영)가 오랜 연구 끝에 우리나라 최초로 범용(general purpose) 프로그래밍 언어인 data-p 언어의 개발에 성공하고, 30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테스트 버전을 공개했다. 누구나 웹사이트(www.data-p.org)에 가서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해 볼 수 있다.

그동안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인 C, C++, Java, Visual Basic, Php, Python, C#, LISP, Prolog 등은 모두 외국에서 만들어졌다. 이 data-p 언어는 기존의 외국산 프로그래밍 언어의 여러 가지 한계를 극복하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만들어진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도 비로서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기술주도권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이 data-p 프로그래밍 언어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모듈 등을 지원하는 멀티패러다임(multi-paradigm) 의 동적(dynamic) 스크립트(scripting) 언어이다. data-p 언어는 개발자 자신의 모국어 단어로 프로그래밍을 작성할 수 있고, 아주 간단한 문법을 사용하므로 배우기도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data-p 언어는,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값(value)과 이름을 묵시적으로 결합하여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값과 이름을 완전히 분리하여 처리하므로, 값에 대하여 어떠한 이름도 부여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영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개발자가 원하는 자국어 어휘로 프로그래밍을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함수, 매크로, 클래스, 모듈 등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일급 클래스(first class)로 다루어 이론적 일관성을 이루었다. 그리고 프로그램 소스 코드(code)와 데이터를 동일하게 다룰 수도 있다. 또한 함수를 실행시간에 그 내용을 조사, 생성, 변경할 수 있는 등 혁신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로봇등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그래밍과 병렬처리, 빅데이터(Big Data)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인물소개]
최시영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모두 입학하였으며, 법과대학을 졸업한 후 소프트웨어 연구에 뛰어든 인물이다.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주최 한국어정보처리시스템 대회에서 세종시맨틱검색시스템(Sejong Semantic Search System, www.sejong21.org)을 개발하여 금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컴퓨팅 분야의 고급이론이나 인공지능과 같은 실험적인 컴퓨팅 연구를 주로 하는 싸이브레인 개인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자료]
data-p 언어 한글 소개서 http://www.data-p.org/download/what_is_datap_kor.ppt
data-p 언어 영문 소개서 http://www.data-p.org/download/what_is_datap_eng.ppt

싸이브레인 개요
싸이브레인은 컴퓨팅 분야의 고급 이론이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실험적인 컴퓨팅 연구를 주로 하는 개인연구소입니다.

data-p 홈페이지: http://www.data-p.org

연락처

싸이브레인연구소
최시영 대표
02-6241-0020, 010-3404-2340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싸이브레인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