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 외국인 이민 ‘나쁜 일’ 38% ‘좋은 일’ 34%
- 인종분쟁 격은 나라들, 외국인 이민에 ‘부정적’
아시아, 북유럽(스위스, 스웨덴, 핀란드 등) 남미 국민들은 외국인 이민에 대해 호의적인 반면, 미국과 동/서유럽(러시아, 벨기에, 체코 등), 호주 국민들은 대체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외국인 이민자에 대해 ‘좋은 일’이란 응답이 40%로 ‘나쁜 일’(23%)보다 17%P 더 많아 호의적인 반응이 우세했다. 이웃나라인 중국 역시 ‘좋은 일’이란 응답이 45%로 ‘나쁜 일’(17%)보다 많았다. 일본은 ‘좋은 일’(17%)과 ‘나쁜 일’(12%)보다 평가유보자(어느 쪽도 아니다 61%)가 많았다.
외국인 이민자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나이지리아(78%)였다. 이어 가나(57%), 파키스탄(54%), 아르메니아(53%), 남수단(48%) 등이 상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비호감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73%)다. 다음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66%), 세르비아(65%), 레바논(64%), 튀니지(63%) 등의 순이었다. ‘전쟁의 화약고’로 불리는 발칸반도에 위치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는 인종분쟁 등으로 내전을 겪은 아픔이 있다.
이민자 인식, 세대별 차이 심해
20대 호감도 57%로 높고 50대 이상 32%로 낮아
한국은 젊은 세대일수록 외국인의 국내 이민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한국갤럽이 지난해 말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1,524명에게 외국인이 이민 오는 것에 대해 물어본 결과, 외국인 이민이 우리나라에 ‘좋은 일’이라는 응답은 저연령일수록 증가해 20대에서 57%로 많았다. 반면 ‘나쁜 일’ 응답은 고연령일수록 증가해 50대 이상에서 31%로 긍정적인 시각(32%)과 차이가 적었다. 여자(36%)보다 남자(44%)의 긍정시각이 많았으며 생활수준에 따른 인식 차이도 적지 않았다.
웹사이트: http://www.gallup.co.kr
연락처
한국갤럽
연구3본부
서금영 연구원
02-3702-2619
-
2013년 2월 20일 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