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수출기업 글로벌 홈페이지, 해외 온라인 마케팅 효율성 높여야
- 변화된 글로벌 인터넷 환경에 최적화된 홈페이지 필요
하지만 홈페이지 및 인터넷을 활용한 수출정책은 정부의 한정된 예산으로 버전업이 시급한 형편이다. 일선 담당자들에 따르면 국내 수출 중소기업의 홈페이지가 국내용으로 제작되었고, 해외 인터넷 환경에서 검색되기 어려운 플래쉬, 이미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무늬만 해외 마케팅용으로 쓰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컴퓨터 운영시스템 및 웹 브라우저 환경도 다양해져 이용빈도가 높은 인터넷 시스템을 파악해야 한다. 컴퓨터 운영 시스템은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 등이 있고 웹 브라우저에는 윈도우 인터넷 익스플로러(IE), 구글의 크롬, 아이폰의 사파리, 구글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등 세분화되었다. 해외 바이어의 경우 국내와는 달리 40~60%가 IE가 아닌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출기업은 각 나라마다 다른 해외바이어의 인터넷환경을 먼저 이해하고 해외 온라인 마케팅을 펼쳐야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해외 마케팅에 적합한 글로벌 홈페이지를 개발, 제작하는 업체도 전문화되고 있다.
글로벌 홈페이지 제작업체 비즈싹은 홈페이지를 국제표준에 기준하여 제작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조언한다. 비즈싹(www.bizsac.com) 컨버전스 사업부 김현겸 이사는 “아프리카, 중남미, 북미, 아시아, 유럽 등 다양한 바이어에게 자기 회사 홈페이지를 노출시키려면 ISO15445 웹 표준을 지켜야 한다”며 “검색엔진 또한 한국은 네이버, 중국은 바이두 등이 우세이지만,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검색엔진은 구글이 절대적이므로 구글 환경에 맞게 최적화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중소수출기업의 해외마케팅 전략은 홈페이지 뿐 아니라 종사자들의 해외 온라인 마케팅 교육도 중요한 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뛰어난 제품 기술을 개발하고도 해외마케팅에 적지 않은 실패를 겪는 이유가 온라인 환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전략을 세우거나 영업을 수행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이사는 “중소기업은 최소 투자로 최대 효과를 거두는 효과적인 방법인 온라인 마케팅의 기본적인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편”이라고 말하며 “온라인 마케팅 효과를 높이려면 검색 순위, 제품 추가나 사양 변경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리외주업체의 손을 빌리지 않고도 직접 수정이 가능한 홈페이지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웹사이트: http://www.bizsac.com
연락처
(주)엔싹엔터테인먼트 컨버전스사업부
김현겸 이사
02-499-9747, 010-4028-9328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