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컨설턴트 유희성, ‘마을 공동사업의 이해와 발전전략’ 워크숍 진행

- 마을 사업은 주민 교육이 선행되어야 성공한다

- 마을 사업은 돈이 계획을 따라가야지 계획이 돈을 따라가게 해서는 안된다

서울--(뉴스와이어)--농업마케팅홍보 전문가 유희성(지식요리사)은 12월 14일 제주서귀포시 풍림리조트에서 한국농어촌공사가 주관하는 ‘마을 사무장 고급과정’중 ‘농촌지역 마을 공동사업의이해와 발전전략’을 주제로 7시간 동안 강의와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이번 교육은 지난 1년간 마을 사무장 초급, 중급과정을 이수한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무장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과정은 유희성 대표가 그동안 농촌지역에서 수행해 온 다양한 지역개발사업 컨설팅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마을 사업의 경제성과 사업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특강과 현안문제를 질문하고 대안을 찾아 가는 워크숍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유희성 대표는 올해 6월 전라북도 고창군의 700억 사업비가 투자되는 복분자크러스터의 마케팅 운영전략에 대하여 컨설팅을 수행하였고, 12월 7일 완공한 단양군 풍차마을 사업의 용역을 맡아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도왔다.

마을 공동사업에 대하여 유 대표의 말을 들어보자.

‘마을 공동사업은 낙후된 지역을 개발하는 아주 의미있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운영주체들의 경험미숙으로 인하여 일의 선후가 바뀌어 진행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일단 건물을 설계하고 건축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그 건물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지 또 그 건물을 활용하여 어떤 소득창출사업을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세워져 있지 않습니다. 대략적인 목적은 있지만 대부분은 사업이 종료되면 그런 하드웨어들은 오히려 마을에 부담이 되는 시설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을 사업에서 우리가 꼭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사업의 순서가 주민들의 생각과 의식을 높일 수 있는 소프트웨어 사업을 시작으로 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러한 교육을 받아 자생적으로 생긴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는 사업들로 사업이 진행되어야 진정으로 지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 사업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유희성 대표는 현재 농촌진흥청의 강소농육성 마케팅분야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농업연수원, 한국농어촌공사. 경기도 인재개발원, 전남공무원 교육원, 전북농식품사관학교, 이천시농업기술센터, 여주시농업기술센터, 화성시농업기술센터, 평택시농업기술센터,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 용인시농업기술센터, 원주시농업기술센터, 정선군농업기술센터, 양양군농업기술센터, 춘천시농업기술센터, 서산시농업기술센터, 계룡시농업기술센터, 예산군농업기술센터, 진천시농업기술센터,익산시농업기술센터, 전주시농업기술센터, 완주군농업기술센터, 군산시농업기술센터, 부안군농업기술센터, 정읍시농업기술센터, 남원시농업기술센터, 임실군농업기술센터, 진안군농업기술센터, 남원시농업기술센터, 장수군농업기술센터, 순창군농업기술센터. 담양군농업기술센터, 장성군농업기술센터, 영광군농업기술센터, 무안군농업기술센터, 신안군농업기술센터, 해남군농업기술센터, 고흥군농업기술센터, 여수시농업기술센터, 곡성군농업기술센터, 제천시농업기술센터, 단양군농업기술센터, 상주시농업기술센터, 음성군농업기술센터, 영양군농업기술센터, 성주군농업기술센터, 구미시농업기술센터, 밀양시농업기술센터, 경주시농업기술센터, 사천시농업기술센터, 남해군농업기술센터, 하동군농업기술센터, 및 농업관련 각종 단체에서 농산물 브랜드 마케팅, 유통전략에 관하여 연간 250여회 약 2만여명의 농업인에게 강의와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관련문의는 홍보팀 김희정 팀장(010-3342-6239 / dmz328@paran.com)

나비의활주로 개요
(주)나비의활주로는 애벌레에서 나비가 되고자하는 치열한 몸짓을 돕는 교육조직입니다. 주요 대상은 농업인, 공무원, 대학생, 일반인들에게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인 교육분야에서 많은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농업인 변화의식교육 (뭉치면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 농산물 브랜드 마케팅 전략 (생산의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마케팅의 시대), - 농산물 브랜드 스토리텔링전략 (농산물에 이야기를 담아라!)- 지역리더 커뮤니케이션전략 (주민을 가슴으로 이끄는 머슴리더십), - 지역축제 활성화전략 (교육 및 컨설팅), - 체험마을 운영및 활성화 전략, - 온라인 마케팅, SNS활용을 통한 홍보전략, - 농업리더의 스피치 향상전략 (리더는 매력적인 연설가), - 성공적인 농업마케팅을 위한 창의력 향상 전략 (발상을 뒤집어라), - 고객관계관리 마케팅 (직거래활성화 전략), - 행복특강 (나, 가정, 가족, 지역주민을 행복하게 만드는 전략)
연락처

나비의활주로 홍보팀
김희정 팀장
010-3342-623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