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대전시장, 13일 송년회견서 올해 성과 및 내년도 시정방향 밝혀
염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가진 송년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하고 “특히 대전과 세종시는 내년부터 ‘사실상’ 행정수도가 되는 것이며, 그에 걸맞는 도시의 품격을 높이는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염 시장은 올 한해 최대성과로 꼽히는 과학벨트와 관련 “38년전 대덕연구단지 입지가 대전으로 결정된 뒤 오늘날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듯이, 과학벨트 입지 자체가 직·간접적 성과로 이어져 기초과학연구원 조성과 중이온가속기 설치, 중앙정부의 지속적 투자 및 운영 등 안정적이고도 장기적인 지역의 성장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만 150개의 기업을 유치한 것도 세종시와 과학벨트의 영향이며 “기업에 제공할 부지가 없어 협약을 보류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게 염시장의 설명이다.
또 마이스(MICE)산업 기반조성과 관련 염 시장은 “엑스포과학공원과 컨벤션뷰로를 묶어 대전마케팅공사를 새롭게 발족하고, KOTRA 대전무역전시관 매입을 통한 전시 공간 확충, DCC(대전컨벤션센터) 인근의 특급호텔 유치와 시뮬레이션 골프 복합단지 조성 추진 등으로 큰 성과를 보인 한해였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염 시장은 학교무상급식과 관련 “초기 논란이 있었으나 대전시가 추진한 지자체 실정에 맞는 단계적 전면실시라는 두 가지 원칙이 여야를 불문하고 합의를 이루고 있고, 대전이 안정적 무상급식 추진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앞으로 총선과 대선에서 무상급식 지원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돼, 중앙정부의 지원이 있을 경우 중학교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도 시정방향과 관련해 염 시장은 “첫째로 세종시와 과학벨트 조성에 따른 기회를 빨리 포착하고 이를 대전발전에 연계·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업 및 각종 단체, 브랜치(분원)를 유치하고 세종시 근무 공무원의 주거지로 대전을 선택하게 하는 등의 적극적인 인구 유입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염 시장은 “둘째로 의료·교육, 교통·도로, 문화예술·스포츠이벤트, 녹지공간 및 공공디자인, 엔터테인먼트와 쇼핑 공간 확충 등 전 분야에 걸쳐 도시품격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절실하다”며 “세계적 과학자 등 유능한 인재와 많은 사람들이 대전에 모여들고 음식 하나, 공연 하나에서도 영감을 얻고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 가자”고 역설했다.
염 시장은 이어 “또한 내년도에는 동·중·대덕구에는 공공투자를 확대하고 서·유성구에는 민간투자를 유도해 도시균형발전을 도모하는 등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시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
한편, 도시철도 2호선 추진상황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염시장은 “지상·고가방식 건설 등 본질적인 문제는 변함이 없고 기종선택의 경우 대구와 광주의 사례처럼 변경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기종문제 등에 대해 민관정위원회에서 합리적 의견이 도출되면 이를 적극 반영할 것이며, 우선 예타통과에 전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염 시장은 오는 16일 개장예정인 용전동 복합터미널에 대해 “이용객들에게 편리하고 쾌적한 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적지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예상할 수 있는 부작용 등도 면밀히 검토해 시민편의와 지역발전에 연계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대전광역시청 개요
대전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염홍철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전시는 대전엑스포, 정부대전청사 유치, 유성 관광특구 지정,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현행 대전역 인근의 고속철도 주변 정비사업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해 왔습니다. 또한 버스준공영제와 전국이 부러워하는 복지만두레 시책으로 서민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있으며, 대전지하철시대 개막, 100년만의 동서관통도로 개통, 각종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및 도심공원화 사업도 착실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염홍철 시장은 대전경제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고도화, 의료웰빙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미래 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metro.daejeon.kr
연락처
대전광역시 공보관실
담당자 이종익
042-600-3045
-
2014년 6월 20일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