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킬로그램 정의, 차기 국제도량형총회로 미뤄져
이번 24차 총회의 최대 이슈는 국제단위계 SI 기본단위의 새로운 정의를 구현하기 위한 국제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총회 대표단은 단위 신정의를 위한 국제적 연구개발 추진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표준기관들이 차기 25차 총회에서 새로운 정의를 채택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연구활동과 국제협력 활동을 요청했다.
국제단위계 중에서도 가장 큰 이슈는 질량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만드는 것이다. 질량의 기본단위인 킬로그램은 국제단위계 7개 기본단위 중 19세기에 만들어진 정의가 지금까지 그대로 사용되는 유일한 단위이다. 또한 ‘국제킬로그램원기’라는 인공물을 표준으로 삼는다. 이 원기는 직경과 높이가 모두 39 ㎜인 원기둥 모양으로 백금과 이리듐이 9대 1의 비율로 섞여있다. 이 원기를 기준으로 이와 똑같은 복사본을 만들어 세계 각국에 보급하고, 각 나라가 질량 1 킬로그램을 똑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작 후 100년이 넘게 지난 지금, 국제킬로그램원기의 질량이 조금씩 변하는 것이 관찰되면서 불변의 자연상수에 근거하여 질량을 재정의 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현재 새로운 질량 기준으로 삼기 위한 유력한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독일을 주축으로 한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와 다른 하나는 미국을 주축으로 한 ‘와트 저울 프로젝트’이다. 앞으로 측정 불확도를 개선한 다수의 연구 결과를 확보하여 2014년 차기 총회에서 새로운 질량의 정의로 채택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를 권고하였다.
한편 KRISS 김명수 원장은 이번 총회에 상정된 국제도량형국(BIPM)의 예산안을 심의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에 참여하였다. 앞으로 김원장은 이들 국제기구의 발전전략과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회원국들의 의견을 노력할 계획이다.
김명수 원장은 “미터조약에 의한 국제활동에 한국을 대표하여 참여하고 있는 KRISS가 이번 총회에 참석한 많은 나라로부터 협력과 지원 요청을 받는 등 국제 측정과학계에서 날로 높아가는 한국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국제기구의 한국 대표로서 KRISS의 위상과 기능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욱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KRISS는 30여 년의 짧은 역사 속에 세계적 표준기관으로 성장한 발전 경험을 개발도상국의 국가표준 선진화를 위한 성장 모델로 전수하기 위해 과학기술 공적개발원조(ODA) 활동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개도국을 대상으로 측정인력양성과 핵심측정설비 역량 강화, 품질시스템 확립과 개선 등을 위한 협력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개요
국가측정표준 정점이며 가장 앞서가는 측정을 연구하는 대덕연구단지내의 출연연구기관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kriss.re.kr
연락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홍보팀
강수정
042-868-5592
이메일 보내기
-
2012년 5월 3일 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