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청소년활동, 다시 길을 묻다’ 토론회 개최
- 30일 청소년활동의 과제와 대안 모색 위한 자리
‘청소년활동, 다시 길을 묻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는 최근 사회환경의 급변에 따라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청소년활동 분야의 ‘근본문제’들을 새롭게 점검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청소년 전문가 및 지도자 200여 명이 참여하는 이번 토론회는 전성민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사무처장의 사회와 이광호 경기대 청소년학과 교수를 비롯해 청소년 학계, 정책 및 활동현장 전문가 6명의 토론으로 진행된다.
이광호 교수는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청소년사업의 진화 필요성과 청소년활동 사업의 과제’발제를 통해 청소년활동사업이 총체적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지적하면서, ‘청소년사업의 새판짜기’와 ‘청소년활동사업의 체질개편’을 제안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정부 정책에서 청소년정책이 차지하는 위상이나 중요성이 높지 않았으며, 청소년정책 주관부처 역시 수차례 변경†됨에 따라 청소년정책의 방향이 해당 부처의 기능 중심으로 재편되는 등 정책이 일관성이나 지속성을 유지하지 못했다. (청소년정책 주관부처는 1964년 내무부 산하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가 설립된 이후 지금까지 10차례 개편)
김기헌 한국청소년청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책환경 변화에 따른 청소년활동의 과제’발제에서 청소년정책 주관부처 이관 실태와 청소년활동 관련 법·제도, 인프라, 예산 등의 변화를 살펴본 후 청소년활동의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그 외 전효관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장이 ‘청소년 생활세계와 청소년활동의 간극’, 정건희 군산청소년수련관 부관장이 ‘청소년 자치 및 참여활동의 과제’, 김지수 당동청소년문화의집 관장이 ‘지역중심 청소년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김혁진 청소년지원네트워크 연구위원이 ‘청소년활동지원체계의 현안과 과제’를 주제로 발제한다.
전성민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사무처장은 “공동체의 붕괴, 저출산 고령화의 심화, 청년실업의 누적 등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해 우리 청소년들은 극도로 개별화되고 불안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며 “이번 토론회가 청소년들이 당면한 과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청소년활동의 패러다임과 비전을 새롭게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개요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은 청소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주기 위해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자원봉사활동,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보급, 청소년활동 정보 종합관리, 청소년지도자 양성, 국내외 청소년 교류 등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천안·평창·고흥의 국립 청소년활동 시설 운영을 통해 청소년활동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kywa.or.kr
연락처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정보홍보부 김선애
02-330-2834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