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대중교통과 극장서 모바일 검색 마케팅 시동
특히 버스 정류장 광고의 경우 사용자 동작을 감지해 반응하는 쌍방향 미디어 광고로 눈길을 끈다. 광고판에 가까이 가면 센서가 움직임을 자동 감지해 광고 속 모델이 말을 건넨다. “근처 가장 가까운 사진관은 어디에요?” 등 현재 위치와 관련된 질문을 던지는 모델에게 대답을 하려면 터치스크린으로 자신의 스마트폰 타입을 선택해 실제 답을 입력할 수 있도록 했다. 정답을 맞추면 축하 메시지가 나타나고, 답이 틀린 경우나 ‘결과보기’ 버튼을 누른 경우 “궁금해? 구글해!”라는 음성이 재생되며 구글 모바일 검색 사용 영상이 재생된다.
이 광고는 빠르고 손쉬운 모바일 검색이 일상생활에서 실제 활용되는 사례를 보여주면서, 스마트폰 검색의 편리함과 유용성을 현실감 있게 전달하는 한편, 자칫 따분해지기 쉬운 버스 정류장을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최첨단 쌍방향 미디어로 바꿔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쌍방향 미디어 광고는 삼성동 코엑스몰 안에 위치한 광고판에서도 오는 6월부터 동일하게 진행된다.
아울러 전국 메가박스 및 시너스 영화관에서는 올 여름 개봉될 3D 블록버스터 <7광구> 예고편을 활용해 극장의 특성을 십분 살린 광고를 선보이고 있다. 이 광고는 “3광…5광…8광?! 아……이 영화 제목이 뭐였지?”라며 성우가 답답해하는 목소리로 영화 제목을 묻자 다음 화면에서 누군가가 “7광구!”라고 외치고 구글 음성검색으로 ‘7광구’를 검색한 결과를 보여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광고는 실제 극장에서 누군가가 영화 제목을 소리치는 듯한 음향 효과를 통해 극장이라는 공간적 특성을 최대한 살렸다.
또한 최근 진행된 지하철 7호선에 지면 광고는 “새 구두에 상처 난 여친 뒤꿈치! 7호선 신풍역 근처 약국은 어디?” “개미도 투자한다! 요즘 괜찮은 투자정보 어떤 것이 있을까?” 등 지하철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질문을 스마트폰 홈 화면의 구글 빠른 검색창으로 검색하는 모습을 담아 시의성과 편리성을 강조하고 있다.
구글은 ‘모바일 최우선’ 전략을 중심으로 모든 제품 및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를 염두에 두고 개발하여 모든 제품이 휴대폰에서도 원활히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귀(마이크), 눈(카메라), 피부(터치 스크린), 가속도계와 GPS 모바일 기기의 위치 인식, 역동성, 쌍방향성, 개인화 등의 특징을 활용해 데스크탑 기반으로는 불가능한, 검색 혁신의 한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많은 투자와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하고 빠른 검색 결과와 음성 검색 등 스마트폰의 특성을 살린 혁신적인 기술로 모바일 검색을 선도하고 있다.
이원진 구글코리아 대표는 “이제 스마트폰은 ‘없어서는 안될 기기’가 되었고, 그 중심에는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바로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검색 서비스가 있다”면서 “구글은 강력한 모바일 검색 서비스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대국민 마케팅을 펼치게 됐다. 이번 광고를 통해 스마트폰에서 보다 손쉽고 빠르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글 모바일 검색의 특징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구글코리아 개요
구글의 미션은 전 세계의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글은 검색, 지도, 지메일,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 크롬, 유튜브 등의 서비스 및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구글은 알파벳 주식회사의 자회사이다.
웹사이트: http://www.google.co.kr
연락처
홍보대행사 뉴스커뮤니케이션
박 진
02-6323-508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