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늘밝은안과, ORA(Ocular Response Analyzer) 도입
연속하여 각막은 압평 지점을 지나 약간 오목하게 된 후 공기압이 중지되면 다시 본래의 모양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전 과정에 걸쳐 각막의 모양을 관찰하여 내향과 외향의 압평 지점 동안의 독립적인 압력을 측정하여 생체역학 인자를 산출하는 기계이다.
한국인에서 Ocular Response Analyzer(ORA)로 측정한 인자들의 정상 범위와 비접촉성안압계의 안압측정치(NCT)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중심각막두께(CCT)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정상 한국인 301명, 301안을 대상으로 ORA를 이용한 corneal hysteresis(CH), corneal response factor(CRF), corneal compensated IOP(IOPcc), Goldman related IOP(IOPg)를 측정한 후 비접촉성안압계의 안압과 초음파를 이용한 중심각막두께를 측정하여 이들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 한국인의 CH, CRF의 평균은 각각 10.70 mmHg, 10.40 mmHg이었다. 소아 청소년군과 성인군에 있어 CH와 CRF의 평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값을 가졌다(p<0.05). IOPcc와 IOPg는 NCT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p<0.01) IOPcc와 IOPg는 CCT와 연관이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안구의 생체학적 성질인 CH와 CRF는 소아와 성인에 따른 차이가 존재한다. ORA로 측정한 IOPcc는 일반적인 안압측정에서 보상해야할 인자인 중심각막두께에 독립적이며 안구의 생체역학적 요소의 반영이라는 면에서 그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 여겨진다.
그리하여 본원은 정상 한국인 각막의 생체역학적 요소의 정상범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해
Ocular Response Analyzer(ORA)를 도입하였다.
연수늘밝은안과 개요
연수 늘밝은 안과는 인천 연수구 동춘동에 위치한 안과로서 고객을 위한 4대 이념 목표인 믿음, 미래, 노력, 자부심을 목표로 최고가 되기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안과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본원은 라식, 라섹과 같은 시력교정수술을 물론 백내장, 녹내장, 망막병증과 일반 안질환을 진료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력교정수술은 안전을 가장 우선하여 무난한 시력을 드리기 보다는 만족한 시력을 드리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brightlasik21.co.kr
연락처
연수늘밝은안과 기획실
032-815-7626~7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