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FA, 中 신황현 동족 고찰 및 의료봉사활동 실시

- 산촌지역에 ‘중한우의진료소’ 보건거점 설치 의향서 교환

서울--(뉴스와이어)--외교통상부 소관의 민간 친선외교단체인 동북아우의연맹(영문 약칭 ‘FAFA’, www.fafa.or.kr)은 지난 10월 28일부터 11월 1일까지 4박 5일 동안 중국 신황현(新晃縣)을 방문 교류활동을 펼치고, 현지 정부와 산촌지역에 ‘중한우의진료소’라는 보건거점을 설치해 줄 것에 대한 의향서를 교환한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의료, 교육, 문화교류를 매개로 계층 간 격차해소와 국가위상 제고 및 글로벌 사회 공헌을 주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FAFA는 이번 방문에서 이 지역의 주류 민족인 동족(侗族)과의 교류와 보건의료실태를 고찰하고 의료봉사활동을 펼치며 산촌지역에 진료거점 설치에 관한 의향서를 체결하는 등 국가이미지 제고와 ‘한중우의(韓中友誼)’를 다졌다.

진영정보통신, 글로벌택틱스, 펀비즈 및 힐스코, 오투타임즈, 나눔테크 등이 후원하고 파파 산하 의료기관이 협력한 이번 활동에는 오랜 중국 체험을 가진 이병만 사무총장을 비롯하여 의료복지사업 담당 조갑제 이사와 충남 태안 우리한의원의 김태균 한의사, 중소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대봉 감사, 베이징대 국제관계학과 유학생인 이겨레 학생회 임원, 중국 장춘시에서 사업하고 있는 이명옥 동포회원 등이 참여했다.

신황은 중국 내륙의 후난성(湖南省)에 속한 인구 약 26만 6천여 명의 동족 자치현(自治縣)으로 꾸이저우성(貴州省)의 접경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의 대부분이 산간지대이며, 인구의 80퍼센트 이상이 동족이다. 현장(縣長)을 비롯한 지도자와 공무원들도 대부분 동족이며, 수은 매장으로도 유명한 지역이다. 현의 시내 중심에 현급 인민의원과 중의원이 있지만 인구의 80퍼센트 이상이 산촌에 거주하고 있어 지리적 접근성과 생활의 궁핍함으로 대부분의 주민들이 의료수혜로부터 멀어져 있다.

이번 활동에 참여한 김태균 한의사는 “FAFA한방의료봉사단이 시내에서 버스로 2시간여 떨어져 있는 떵짜이(凳寨,寨짜이는 산속에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거주단위를 말함)에서 진료활동을 펼쳤을 때는 예정된 시간을 넘긴 밤늦게까지 환자들이 몰려와 현지 안내자에게 ‘왜, 일찍 통지 하지 않았느냐?’ ‘우리까지만 더 봐 달라’며 관심을 보여 일정이 빡빡한 것이 아쉽기도 했다”고 말했다.

환자들은 주로 관절, 심혈관계, 호흡기,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호소해 왔는데, 방문단의 진료를 받고 무릎 통증으로 거동이 불편했던 분이 걷게 되고, 뇌경색으로 언어장애가 있던 분이, “부인의 이름이 무엇이냐?” “사랑하느냐?”는 한의사의 말시킴에, 발음을 똑똑히 대답하게 된 것이 다음 날 소문이 나면서, 한 번 더 진료를 와 달라는 요청이 쇄도하기도 했다.

현 정부에서는 행정구역상 현의 하급 지역인 향, 진 지역까진 위생원(보건소)을 설치하고 있지만, 향과 진에서도 멀리 떨어진 촌(리)에 까진 계획만 있을 뿐 아직 사정이 미치고 있지 못하다 밝혔다. FAFA는 현지 텔레비전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상대가 잘 살아야 나도 잘 살 수 있는 시대다”며 “우리의 이 같은 노력들이 중, 한 양국의 우의증진과 동북아의 공동번영에 작게나마 이바지되기를 바란다.”고 취지에 답했다.

이에 앞선 방문 첫 날 현장과 현위 서기가 주최한 환영만찬에서 장샤 현장은 “중국과 한국은 유구한 역사로 교류가 활발했다”며 “한국 드라마를 보면 좋은 음식이 많이 있던데, 여기음식이 입에 맞을지 모르겠다”고 인사했고, 이에 FAFA에서는 “이렇게 진심으로 열열히 환영해 주시는데, 어찌 맛이 없을 수 있겠습니까”고 화답하자, 장샤 현장이 다시 “하긴, 그렇네요. 마음만 있다면 술이 아닌 것이 없다고 하지요”하며 분위기를 북돋았다. 그 후로 방문단이 귀국할 때까지 정부의 간부들이 계속 근접하여 안내를 맡았는데, 매 식사시간 때마다 “한중, 중한우의를 위하여”라는 건배제의가 끊이지 않았다.

진료활동을 위해 옛 국민당 군대의 요새이기도 했다던 산촌으로 가는 버스 안에서는 중국의 안내자가 “중한우의의 꽃이 만산에 흐드러지게 피었다”며 노래를 부르는가 하면, “멀리서 우인이 찾아오니 새들도 노래하고 춤을 추는 구나, 귀빈이 나의 집을 방문하니 물이 웃고 산이 기뻐하는 구나”며 방문단에 대한 반가움을 자작 한시로 표현하기도 했다.

동족(중국어: 侗族, 베트남어: Người Đồng, 영어: Dong people)의 현유인구는 약 300여만 명에 가까우며 주로 후난, 꾸이저우, 광시 등 3개 성이 서로 접한 신황(新晃), 옥병(玉屛), 통도(通道), 지강(芷江), 삼강(三江) 등 현(縣)과 후베이성 및 베트남에 분포돼 있다.

동족은 비교적 환경이 좋은 산간 하구평야 지역에 걸쳐 거주하고 있으며, 송나라 때 중국으로 이주해와 처음에는 양자강 유역의 계곡에서 살다가 한족의 세력 확장으로 남쪽으로 밀려나서 살게 되었다. 동족 거주지는 줄곧 ‘시와 노래의 해양’으로 불리 우고 있다. 동족의 시가는 운율이 아름답고 제재가 다양해 문학과 음악분야에서 매우 진귀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족의 독자적인 건축, 민족음악, 민족의상은 해외에서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동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데 벼 재배를 주로 하며 특산이 찰벼이다. 양어장 경영자도 다수 있으며, 소수인이 임업에 종사하고 있다. 관광용 선물로 자수 등의 민예품을 제작, 판매하기도 하며, 젊은 세대의 동족 중에서는 민족음악의 연주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말은 유지하고 있지만 말을 표기하는 문자를 잃어버린 동족의 언어 사용은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한어는 거의 못 알아듣고 본 민족어인 동어만 사용하는 부류인 대부분의 노인층과 부녀자그룹, 둘째는 동어를 알아듣기는 하지만 말은 못하는 부류, 셋째는 지식수준이 높은 부류의 현상으로 한어와 동어를 동시에 잘 하는 부류, 넷째는 후난성 서남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동어를 전혀 못하고 한어만 하는 부류 등이다. 동족은 산촌에서 자급자족으로 보통 3대가 함께 살며 철저히 가부장제의 가족체계가 형성되어, 혈연관계로 고루(鼓樓)중심인 고루사회의 최소단위를 이룬다. 물론 가장은 가정의 일을 처리하는데 가족의 의견을 존중한다.

동족은 원시모계사회의 영향으로 전설 속의 최고권위의 영웅인 조상여신(女神), ‘Sa(薩)’를 중심으로 한 조상 숭배 신앙이 매우 특별하다. ‘Sa(薩)’는 신성의 대명사로 보편화되었고 무소 부재한 존재이다. 예전에는 각 가정마다 신위(神位)를 모셔 놓는 ‘Sa tang(薩堂)’이 있어 식사 전에 먼저 음식을 올려 공경했다. 사신(薩神)이 거주하는 곳을 뜻하는 ‘tang(堂)’은 큰 제사를 지내는 곳이기도 하지만, 대중 집회의 장소이기도 하다. 불교, 도교와 더불어 만물에 영이 있다고 믿어 뱀을 숭배하는 등 토템사상과 원시 신앙형태인 점복술이 아직도 남아 있으며, 오늘날에는 많이 변했으나 청명에는 반드시 성묘했다.

기독교는 1920년대에 미국 선교사 류후췬(劉富群), 딩후이밍(丁惠明)과 중국인 목사 임달영(林達榮)이 광시에서 룽쟝현(榕江縣)으로 들어 와 전도활동을 펼쳐 룽쟝현의 황극부(黃克夫)가 광시 오주(梧州)의 선도회(宣道會)성경학원에 가 학습하고 후에 목사가 되었다. 1938년에는 소도평(蘇道平) 목사와 부인 소애련(蘇愛蓮)이 광시에서 룽쟝현에 와 평유(平油), 본리(本里), 악리(樂里), 양조(楊調)등 동족지역에 예배당을 세워 전도해 100여명이 세례를 받으며 신자가 1,000여명에 이르렀고, 교회는 빈민 구제와 치료에 앞장서기도 했다. 독일 선교사 요우더카이(尤德凱)는 리핑현(黎平縣)에서 전도활동을 펼쳤다.

동북아우의연맹 FAFA 개요
조화의 리더십을 갖춘 21세기 글로벌 외교인재의 육성과 동북아 우의네트워크구축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사단법인 동북아우의연맹, FAFA는 "이기는 것보다 친구가 되는 것이 더 좋다" 를 슬로건으로, 인재발굴 교류 및 친선외교 확대를 통해 상호 이해와 우의의 증진, 국가브랜드가치 제고 및 글로벌사회 공헌을 꾀하는 외교통상부 소관의 비영리민간단체다. 산하에 미국 및 동북아 지역 주요도시에 지역위원회와 연구회, 지회, 사업단 등을 두고, 인터넷매체와 의료기관, 평생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한방우의협력단(FAFCA)의 해외의료봉사와 글로벌우의대상시상, 하모니데이기념식, 미래글로벌리더대회, 대한민국바로알기체험프로젝트, 서울무궁화프로젝트, 공동체에 좋은영향미치기 캠페인, 하모니아리랑 행사 등을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afa.or.kr

연락처

(사)동북아우의연맹 사무처
진평만 02-735-7979
010-7342-797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