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한국제품, 일본제품의 벽을 넘어서다’

서울--(뉴스와이어)--한국제품, 일본제품의 벽을 넘어서다: 한중일 제품의 국내 소비자 인식 조사

1. Made in Korea의 위상

얼마 전까지 만에도 일본을 가면 전자제품을 사가지고 들어오는 것이 소망일 정도로 일본 제품은 인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인 Interbrand사가 발표한 2010년 세계 브랜드 순위에서 한국의 삼성은 일본의 소니를 이미 앞섰다. 이렇듯 밖에서 보는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은 점점 향상되고 있으나, 국내의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논의된 적은 별로 없다. 소비자 인식은 구매와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대 경쟁국인 일본이나 최근 두각을 나타내는 중국 제품에 대해 소비자 인식을 알아보는 것은 한국 제품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2. 한중일 제품에 대한 국내 소비자 인식

전국 성인 남녀 831명을 대상으로 한중일 각국 제품의 위상에 대한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 제품에 대한 전체적 인식은 10년 전과 비교할 때 일본과의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다. 한국 제품에 대한 현재 일반 국민들의 인식을 100점으로 보았을 때, 일본 제품은 103.8점, 중국 제품은 62.8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10년 전에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이 75.5점, 일본 제품이 101.4점이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일반 국민들의 인식 격차가 많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주요 고객인 여성의 경우 한국 제품을 남성보다 더 선호하고 있다. 제품 소비의 주요 고객층인 여성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점은 내수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 강화에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486세대인 40대가 일본 제품에 유독 우호적인 성향을 보인다. 40대는, 일본 제품을 단순하게 제품으로 평가를 하는 2,30대와 달리, 일본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관념과 더불어 과거 일본 제품에 대한 동경이 어울러져서 일본 제품을 아직까지 우호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품질과 디자인 측면에서 일본 제품과 대등한 위치에 올라섰지만, 가격경쟁력은 높지 않다. 한국 제품은 특히, 디자인 측면에서 102.4점을 기록해 일본 제품의 103.8점과 거의 대등한 위치까지 올라왔으며, 중국과의 격차는 아직까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격 측면에서 한국이 90.7점으로 점수가 높지 않고, 중국과의 격차도 상대적으로 적어 향후 역전 가능성이 존재한다.

다섯째, IT 제품과 같은 일부 제품 인식은 이미 일본 제품을 넘어섰다. IT 제품은 한국이 112.6점, 일본은 100.9점으로 10점 이상의 점수 격차를 보이고 있어 소비자들의 한국 IT제품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백색가전의 경우 4점 정도의 점수 차를 보여 일본 제품을 아직 확연히 앞선 것은 아니지만, 과거 일본 선호 추세에서 이미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는 여전히 일본에 뒤져있지만 그 격차가 4.5점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향후 국민들의 인식이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일부 계층, 예를 들어 여자나 50대 이상의 경우 한국과 일본 제품이 거의 유사하며, 고졸 이하의 경우 한국이 앞서 있다.

3. 시사점: 한국제품의 인식 향상이 필요하다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환경에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선 내수 기반이 튼튼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 국민들이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은 바람직하며, 이를 계속 강화시켜는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높아진 소비자 인식을 브랜드 파워로 전이시켜야 한다. 둘째, 일본을 대비하여서는, 상승 추세의 선호 인식을 정착시키기 위해 특정 계층을 매개로 한 이미지 전환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중국을 대비하여서는, 고품질 이미지 선점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에는 국내 소비자들의 고양된 인식을 기반으로 외국인들에게도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국민과 외국인들의 인식 현황을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장후석 연구위원]

*위 자료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hri.co.kr

연락처

현대경제연구원 장후석 연구위원
02-2072-6234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