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최대 녹색축제’ 세계산림과학대회, 23일 서울서 개막

서울--(뉴스와이어)--산림분야 세계최대 학술행사인 '제23차 세계산림과학대회(IUFRO서울총회)‘가 오는 8월23일 ‘세계 최단기 녹화성공국’ 대한민국 서울에서 참가자 3500여명, 논문발표 2150편 등 세계산림과학대회 역사상 최대 규모로 개막한다. 23일 개막하여 28일 폐막하는 이 대회의 주제는 ‘사회와 환경, 그리고 지구의 미래를 위한 산림의 역할’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최완용)이 주최하는 이번 대회에는 110여개 국가에서 3500여명이 참가하고 2150편의 논문이 제출되는 등 세계산림과학대회 역사상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대회 참가자들은 총회 기간 중인 26일에는 대관령 특수조림지, 국립수목원 등 8개 코스로 나눠 세계 최단기 녹화성공 신화의 현장인 대한민국 산림을 직접 체험하는 ‘산림학술여행’에도 나선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박사급 산림전문가 40명을 모든 코스의 학술포인트 설명자로 투입, 해외 전문가들에게 한국의 산림녹화운동 역사와 산림의 보존·이용 전략, 숲과 관련된 우리의 전통문화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이 대회에는 5명의 산림·환경·경제 분야의 국내외 석학이 기조연설을 통해 ‘기후변화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산림의 역할’을 세계인들에게 제시한다. 여성 최초로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엘리노어 오스트롬(Elinor Ostrom) 인디애나대 교수, 열대림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피터 쇼 에슈턴 하버드대 명예교수, 프란시즈 제이 세이모어 세계임업연구센터 원장, 호세 호아킨 캄포 열대농업연구 및 고등교육센터 원장, 2009년 노벨문학상 후보자 고은 시인이 각각 기조연설을 한다.

특히 여성 최초로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엘리노어 오스트롬(Elinor Ostrom) 인디애나대 교수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공동체의 역할’이라는 기조연설을 통해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공유자원인 산림을 보존하는 최고의 해법은 지구촌 공동체의 자율적인 협력, 지역별 자치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오스트롬 교수는 한국을 처음 방문한다. 고은 시인은 ‘숲은 짧고, 사막은 영원하다’라는 주제로 세계인에게 산림사랑·환경사랑의 절실함을 호소한다.

일반인들이 참가할 수 있는 산림 전시회도 국내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서울총회 기간 중 코엑스 홀 C3~C4(구 대서양홀)에서 개최되는 세계산림과학전시회에서는 ‘하늘에서 본 아름다운 우리 산하’ 사진전과 ‘우리 숲 큰나무’ 사진전 등 풍성한 볼거리와 산림분야 신기술·신제품 전시회 등 시민들에게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산림의 역할을 홍보하는 각종 전시가 진행된다.

이번 대회 조직위원장을 맡은 최완용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세계산림과학대회는 황폐했던 우리나라 산림의 최단기 녹화 성공 경험을 공유하고 전파할 수 있는 기회”라며 “지구촌 최대 녹색 축제로 불리는 이번 대회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는 산림의 중요성이 세계인에게 다시 강조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 원장은 이어 “대회를 통해 아시아 산림 현안을 글로벌 이슈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특히 동북아시아 산림 현안인 황사 저감, 산림 황폐지 복구, 사막화 방지 등을 글로벌 이슈화해 산림 분야 국제 논의와 산림과학기술 개발 분야에서 우리 역할을 높이는 전기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원장은 “세계 산림과학자 네트워크를 구축해 우리가 산림 부문 국제 논의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한편, 국제사회가 인정한 세계 최단기 녹화 성공 신화를 보유한 대한민국의 녹색성장 국가브랜드를 G20 서울정상회의에 앞서 세계인에게 홍보해 국가 인지도를 높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국립산림과학원 개요
1922년 임업시험장으로 출발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 임업, 목재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산림청 산하 국가연구기관이다.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산림강국의 실현을 위한 산림과학지식·기술의 개발과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 홍릉터에 산림정책연구부, 산림보전부, 임산공학부 등 3개부가 위치하고, 산림유전자원부는 경기도 수원, 3개 연구소는 각각 경기도 남양주(산림생산기술연구소), 경남 진주(남부산림연구소), 제주도 서귀포(난대산림연구소)에 자리 잡고 있다. 한편 개발된 산림과학기술의 현장 실연을 위하여 시험림과 묘포 5,140ha를 보유하고 있다. 산림청 산림정책국장 출신인 윤영균 청장이 2013년부터 산림과학원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nifos.forest.go.kr/

연락처

국립산림과학원 대외협력과
박정환 과장
02-961-259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