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산림과학대회(IUFRO 세계총회) 30일 앞으로
‘지구온난화’라는 인류가 직면한 최악의 ‘공유재의 비극’을 ‘지구촌 공동체의 자율적 협력과 자치’로 극복할 수 있을까?
산림분야 세계최대의 학술행사인 '제23차 세계산림과학대회(IUFRO서울총회)‘가 지금으로부터 30일 후인 오는 8월2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다. 서울총회에서는 여성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오스트롬 교수를 비롯한 환경·산림·경제 분야의 세계적 석학 4000여명이 한 자리에 모여 ‘기후변화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산림의 역할과 지구촌 공동체의 협력과제’를 제시한다.
세계산림과학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최완용 국립산림과학원장)는 8월 23~2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23차 세계산림과학대회(IUFRO서울총회)‘에 엘리노어 오스트롬(Elinor Ostrom) 인디애나대 교수, 피터 쇼 애슈턴(Peter Shaw Ashton) 하버드대 명예교수, 고은 시인 등 전 세계 110여개국 4,300여명의 산림·환경·경제전문가와 산림 관련 정부각료들이 참석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대회에서는 산림보존, 산림이용, 기후변화대응을 주제로 한 2085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측은 이번 서울총회가 산림과학대회 역사상 최다인원이 참가하고 발표되는 학술논문도 가장 많은 총회라고 덧붙였다.
서울총회의 학술적 토론방향을 제안하는 기조연설자는 오스트롬 교수를 비롯한 환경·산림·경제 분야의 세계적 석학 5명이 담당한다.
‘공유재의 비극을 공동체의 자율적 자치에서 해법을 찾아’ 여성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오스트롬 교수는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공동체의 역할’이라는 기조연설을 통해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공유자원인 산림을 보존하는 최고의 해법은 지구촌 공동체의 자율적인 협력, 지역별 자치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오스트롬 교수는 한국을 처음 방문한다.
열대림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에슈턴 교수는 ‘열대림의 재난 기록 연구’라는 기조연설을 통해 “인류에게 지구온난화라는 최악의 재앙을 낳은 아마존과 아프리카 열대림의 파괴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지속가능한 열대림의 이용대책을 지구촌 공동체 차원에서 수립할 것”을 촉구한다.
이들 외에도 한국의 고은 시인이 ‘숲은 짧고, 사막은 영원하다’, 프란시즈 제이 세이모어 세계임업연구센터 원장의 ‘산림, 기후변화, 공동체의 진일보’, 호세 호아킨 캄포 열대농업연구 및 고등교육센터 원장의 ‘지속가능한 산림을 조성하기 위한 지역과 계층의 통합’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총회기간 중에는 9개 주제, 30여개의 분야별로 총 2085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산림의 비전을 엿볼 수 있는 ‘세계산림과학전시회’도 함께 열린다. 오대산, 설악산 등 8개 산림코스에 참가자 전원이 참석하는 학술탐사 프로그램도 열려 한국의 아름다움과 선진적인 산림이용 사례가 세계에 소개된다. 사전 행사로 주요 참석자들이 참가해 대회기념 식수인 정이품송 후계목 1본과 금강송 후계목 4본 등 5본의 식재를 심는 기념 식수행사도 서울숲에서 가진다.
최완용 세계산림과학대회 조직위원장은 “지구촌 최대 녹색축제라고 불릴 만큼 양질이 우수한 이번 대회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는 산림 및 임업의 중요성이 세계인들에게 다시 한번 강조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하며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인정한 세계 최단기 녹화성공 신화를 보유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녹색성장 국가브랜드를 G20 서울정상회의 앞서 세계인들에게 홍보해 국가인지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개요
1922년 임업시험장으로 출발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 임업, 목재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산림청 산하 국가연구기관이다.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산림강국의 실현을 위한 산림과학지식·기술의 개발과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 홍릉터에 산림정책연구부, 산림보전부, 임산공학부 등 3개부가 위치하고, 산림유전자원부는 경기도 수원, 3개 연구소는 각각 경기도 남양주(산림생산기술연구소), 경남 진주(남부산림연구소), 제주도 서귀포(난대산림연구소)에 자리 잡고 있다. 한편 개발된 산림과학기술의 현장 실연을 위하여 시험림과 묘포 5,140ha를 보유하고 있다. 산림청 산림정책국장 출신인 윤영균 청장이 2013년부터 산림과학원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nifos.forest.go.kr/
연락처
홍보대행사 EMM / Egis Communications
고영무 팀장
02-566-9189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