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조기종료워런트 상장 추진
1. 조기종료워런트의 개념 및 특징
(개념)
조기종료워런트는 일반(Plain-Vanilla)워런트에 조기종료(Knock-Out) 조건*이 부여된 워런트로 동 조건을 충족할 경우 만기 전에 언제라도 워런트의 효력이 종료되는 상품
* 기초자산 가격이 조기종료 발생기준가격(Knock-Out Barrier)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를 말하며, 조기종료 발생 익일 해당종목 상장폐지
(주요 특징)
일반워런트에 비해 기초자산 가격변화에 보다 밀접하게 변동하므로 가격투명성이 높고, 투자자의 이해가 용이
기초자산 가격변동으로 워런트의 손실이 확대될 경우 투자원금 모두를 손실보기 전에 조기종료되고 잔존가치(Residual Value)를 지급하므로 투자자 보호 가능
2. 조기종료워런트의 도입 배경 및 외국 사례
(시장건전성 제고 필요)
현행 ELW 시장은 개설(’05.12월) 이후 세계 2위 규모의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외가격 종목 위주의 거래에 치중하고, ELW가격이 주가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한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음
따라서 현행 워런트 시장의 질적 성장과 건전 투자문화 정착을 위해서 가격투명성이 높고, 이해하기 쉬운 상품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
(다양한 투자수요 충족)
국내 워런트증권시장은 외국과 달리 다양한 형태의 상품이 출시되지 않아 투자자의 다양한 수요충족을 위한 상품 출시 필요
(외국의 상장사례)
’01년 독일에서 터보워런트(Turbo Warrant)라는 이름으로 세계 최초로 상장하였고, 홍콩, 스위스, 프랑스 등에서 거래
특히, 세계 1위 워런트 시장인 홍콩의 경우 ’06.6월 CBBC (Callable Bull Bear Contract)라는 이름으로 상장하여 ’08년도 부터 급성장
3. 추진 경과
거래소는 ’08년부터 조기종료워런트의 상품구조 및 외국사례 등의 기초조사를 실시하였고, ’09년 상반기부터 워런트 발행 및 유동성공급 금융투자회사와 함께 실무협의회를 구성·운영(총 7차회의)
거래소는 실무협의회에서 업계와의 충분한 협의를 거쳐 투자자 보호 및 거래편의를 위한 상품표준화(안)을 마련
또한 투자위험 및 상품구조가 일반워런트와는 다르므로 투자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투자하도록 투자설명서 등에 충실히 반영하고, 업계와 공동으로 투자자 교육 등을 진행하여 건전투자 유도 계획
4. 기대 효과
(일반워런트의 문제점 보완)
내가격 구간에서만 발행 및 거래되므로 외가격 위주의 발행구조에 변화, 주가예측에 따른 건전한 투자행태로의 유도가 가능
(투자자 보호)
일반워런트에 비해 변동성의 영향이 적고, 주가의 변화에 밀접하게 가격이 변동하여 가격투명성이 높고, 투자자들이 이해하기 쉬우며, 잔존가치를 지급하는 등 투자자 보호가능
(금융투자업자의 역량 강화)
신종 워런트의 개발 및 발행을 통한 새로운 운용 및 헤지 기법 도입으로 국내 금융투자업자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선진 파생결합증권시장으로의 도약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
5. 향후 추진계획
거래소 및 유관기관, 증권회사 시스템 개발('10.4월~8월)
거래소와 증권회사 시스템간 연계테스트 등 모의시장 운영 (’10.7월~8월)
ELW 주문수탁 증권회사 대상 교육 / 전국 투자자 교육 및 세미나 개최(’10.4월 / ’10.6월~8월)
조기종료워런트 투자 안내책자 발간 및 배포 예정
상장 및 거래개시 : 2010. 9월초
한국거래소(KRX) 개요
한국거래소는 증권 및 파생상품시장을 개설, 운영하여 국민에게는 금융투자수단을, 기업에게는 직접자금조달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핵심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rx.co.kr
연락처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증권상품총괄팀 상품개발팀
팀장 김경학
02-3774-9369
이 보도자료는 한국거래소(KRX)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