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재건축 8주 만에 반등
연내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개포동 저층 재건축 단지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저가매물 거래가 이뤄졌기 때문. 이에 매도자들은 호가를 높이는 추세다.
또 강동구 재건축 단지도 낙폭(-0.32%→-0.04%)이 크게 줄면서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가 금주 들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전세시장은 서울 아파트 전세가 상승폭이 다소 줄고 경기·인천은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면서 금주 0.02% 오르는데 그쳤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11월 27일부터 12월 3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값을 조사한 결과 주간 매매가 변동률은 -0.02, 전세가는 0.02%를 기록했다.
[ 매매 ]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2%로 전주(-0.05%) 대비 낙폭이 줄어든 모습.
지역별로는 강남구가 8주만에 반등을 보이면서 0.05%를 기록. 하지만 송파구(-0.18%)는 여전히 하락폭이 컸다. 이어 강동구(-0.04%), 강서구(-0.04%), 양천구(-0.02%), 서초구(-0.02%), 노원구(-0.01), 은평구(-0.01%)가 소폭 하락했다. 반면 마포구(0.07%), 관악구(0.04%), 금천구(0.01%)는 상승했고 나머지는 보합.
강남구는 연내 개포지구 용적률이 확정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개포동 저층 재건축 단지로 수요가 유입되며 저렴한 매물부터 거래가 살아났다. 개포동 주공3단지 36㎡가 2천5백만원 오른 6억8천만~7억원, 주공1단지 42㎡가 2천만원 상승한 8억3천만~8억5천만원.
송파구는 재건축 단지를 비롯해 일반 아파트값 하락세가 계속됐다. 가락시장 현대화사업, 3호선 연장선 등 호재에도 불구하고 추가 하락 우려에 매수세는 전혀 없는 상태.
잠실동 아시아선수촌 171㎡가 5천만원 하락한 17억5천만~20억5천만원, 가락동 가락시영2차 62㎡가 1천5백만원 하락한 8억8천만~9억8천만원이다.
반면 마포구는 창전동 쌍용예가로 매수문의가 꾸준한 편이다. 지하철 이용이 편리하고 교육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어 시세보다 저렴한 매물은 거래가 수월하게 이뤄지는 상황. 창전동 쌍용예가 82㎡가 2천5백만원 상승한 5억~5억3천만원, 105㎡A가 2천5백만원 상승한 6억4천만~6억8천만원.
금주 경기 및 신도시 매매가 변동률은 각각 -0.03%, 0.00%로 전주(경기·신도시 -0.05%) 대비 하락폭이 줄었고 인천은 -0.07%로 지난주(-0.02%)보다 심화됐다.
지역별로는 인천 연수구(-0.25%), 광명시(-0.24%) 등이 크게 떨어졌다. 이어 인천 동구(-0.12%), 동두천시(-0.11%), 인천 부평구(-0.10%), 안양시(-0.06%), 양주시(-0.06%), 용인시(-0.04%) 등이 하락세.
인천 연수구는 송도동이 크게 하락했다. 매수자들의 관심이 DTI 적용을 받지 않는 분양시장으로 옮겨가면서 1천만원 이상 저렴한 매물도 거래가 어렵다.
송도동 송도풍림아이원6블록 152㎡가 2천만원 하락한 6억9천만~7억5천만원, 송도한진해모로 105㎡A가 5백만원 하락한 4억7천만~5억5천만원.
광명시는 철산동, 하안동 일대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철산동 주공3단지 등 인근 재건축 단지에서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 기존 아파트로는 매수세가 뚝 끊긴 상태.
철산동 주공10단지 49㎡가 2천만원 하락한 3억1천만~3억2천만원, 하안동 주공10단지 105㎡가 5백만원 하락한 3억3천만~3억6천만원.
동두천시는 생연동 일대가 떨어졌다. 동두천동에 7백여 가구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 매수세가 새 아파트로 집중된 것. 생연동 대방노블랜드 158㎡가 1천5백만원 하락한 2억7천만~2억9천만원, 135㎡가 5백만원 하락한 2억5천5백만~2억6천5백만원.
[ 전세 ] 금주 서울 전세가 변동률은 0.06%다. 전주(0.08%)보다는 상승폭이 다소 줄어든 모습.
지역별로는 양천구(0.19%), 관악구(0.18%), 강남구(0.16%), 서대문구(0.11%), 용산구(0.11%), 마포구(0.08%), 송파구(0.08%), 동작구(0.06%) 등이 올랐고 강서구(-0.13%), 성북구(-0.04%) 등은 하락했다.
양천구는 목동 일대 인기가 꾸준하다. 겨울방학 이사철을 앞두고 학군 수요 유입이 계속되면서 시세보다 5백만~1천만원 오른 가격에도 계약에 무리가 없다. 목동 신시가지5단지 89㎡가 5백만원 오른 2억3천만~2억9천만원, 롯데캐슬위너 135㎡가 1천5백만원 오른 3억1천만~3억4천만원.
관악구는 신림동 일대가 올랐다. 특히 신림푸르지오는 1천여가구 넘는 대단지인데다 학군이 인접해 있어 수요가 꾸준한 곳으로 대형 아파트까지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다. 신림동 신림푸르지오 145㎡가 1천만원 오른 2억5천만~2억6천만원.
강남구는 지역 내뿐 아니라 외부에서도 학군을 위해 들어오려는 수요가 많아 연일 상승세다. 물건이 부족해 계약이 어려울 정도. 대치동 쌍용1차 152㎡가 1천5백만원 오른 4억5천만~5억3천만원, 우성2차 105㎡가 1천5백만원 오른 3억2천만~3억8천만원이다.
금주 경기 및 신도시 전세가 변동률은 각각 -0.03%, 0.03%며 인천은 -0.01%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안양시(-0.18%)가 크게 하락했다. 이어 화성시(-0.10%), 광명시(-0.09%), 고양시(-0.07%), 의정부시(-0.06%), 남양주시(-0.06%), 용인시(-0.04%), 인천 부평구(-0.03%)가 하락했고 일산(0.15%), 수원시(0.04%) 등은 올랐다.
안양시는 비산동, 석수동 일대가 크게 하락했다. 전세 수요는 점점 줄어드는 반면 인근 내손동, 석수동 등에서 입주물량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 저렴한 물건도 계약이 안돼 그대로 쌓여 있다.
비산동 삼성래미안 135㎡가 1천만원 하락한 2억4천만~2억7천만원, 석수동 석수아이파크 111㎡가 1천만원 하락한 1억4천만~1억6천만원.
광명시도 주변 재건축 단지 입주물량 여파로 전세가가 약세다. 내년 초까지 새 아파트 물량이 쏟아질 예정이어서 기존 아파트를 찾는 수요가 크게 줄어든 상태. 하안동 주공11단지 66㎡가 5백만원 하락한 9천만~1억원, 소하동 금호어울림 76㎡가 2백만원 가량 하락한 1억4천만~1억4천5백만원.
인천은 부평구 삼산동 일대가 하락했다. 시세보다 저렴한 물건이 계약돼 전세가가 하향 조정된 것. 전반적으로 수요가 마무리 되면서 전세 시장이 한산해진 모습이다. 삼산동 삼산타운2단지 105㎡C가 5백만원 하락한 1억5천만~1억5천5백만원.
웹사이트: http://www.drapt.com
연락처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
소장 이영진
02-516-0410(내선 237)
-
2009년 12월 23일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