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섹’이 ‘라식’보다 안구건조증에 효과

인천--(뉴스와이어)--현대사회는 컴퓨터나 콘택트렌즈 사용인구의 증가, 대기오염 등 다변하는 사회 환경과 맞물려 안과질환 환자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안과질환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질환이 안구건조증이 아닌가 싶다. 특히 최근에는 미용이나 생활의 편리를 위해 라식 등과 같은 레이저 시력교정수술을 받는 사람들의 증가도 안구건조증 환자를 늘리는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2000년대 초반 Solomon등의 보고에 의하면 미국에서 라식을 받은 환자의 약 50%에서 건성안 증상을 보여 라식의 합병증 중 가장 흔한 것으로 발표하였으며 그 외의 국내외 보고에 의하면 라식을 받은 환자분들 중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게는 30%에서 많게는 50%까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고들이 2000년대 초반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최근에는 더욱 증가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안구건조증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하게 라식과 같은 근시교정수술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외부 자극으로 인한 각막지각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회로(neural reflex)의 장애유발로 눈물분비와 눈깜박임이 감소하게 되고 영양효과(trophic efect)의 감소로 각막상처치유의 장애를 된다. 특히 라식계열 수술의 경우 각막절편의 생성과정과 각막실질의 절삭과정(photoablation)중에서 각막의 지각신경의 손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안구건조증이 심해지며 각막상피에 점상 각막염과 같은 형태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각막지각신경이 회복되는 3~6개월 정도 걸린다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각막지각신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안구건조증은 라식수술후 초기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많은 경우에서 일시적인 안구건조증을 경험하게 되며, 일부 논문에 의하면 경우에 따라 지각신경의 회복이 1년 이상 지나서도 완전하게 회복되는 것은 아니다 라는 보고도 있으며, 또 다른 논문에 의하면 각막지각신경의 감소는 눈물샘과 결막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전해질 수분 등 여러 성분의 감소에 의한 눈물농도의 증가와 염증반응(neurogenic inflammation)을 유발하게 되어 만성적인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안구건조증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수술 방법은 없을까? 현재까지는 라섹계열의 수술이 가장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라섹은 라식처럼 각막절편을 만들지 않고 각막상피편만을 만들어 레이저 조사를 하기 때문에(surface ablation) 각막의 지각신경을 절단시키지 않고 표층의 신경말단만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재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으며 라식의 경우 대략 9mm전도의 각막절편을 만들기 때문에 이 정도 범위의 각막지각신경이 절단된다.

또한 8.5mm전후의 범위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 신경말단도 손상이 발생하는 것과는 달리 라섹의 경우 신경의 절단없이 각막상피편만 9mm 정도(개인적 기준) 벗겨낸 후 8.5mm 정도의 범위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손상범위가 라식보다 훨씬 적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라섹이 안구건조증상에 완전히 안전하다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라섹의 경우 각막절편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라식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라식보다는 안구건조증 측면에서 유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각막지각신경의 손상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기 때문에 100% 자유롭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라섹수술의 경우에도 라식수술과 같이 수술전 검사시에 생활패턴 및 전신질환 유뮤, 사용하는 약물, 컴퓨터 사용시간, 렌즈 착용기간, 안구건조증에 대한 주관적 증상의 정도 등 다양한 주관적 요소를 미리 고려하여야 하며, 더불어 눈물막 파괴시간, 눈물분비량(쉬르머 검사), 안검염의 동반 여부 등의 객관적 검사를 통해 안구건조증의 정도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시교정수술시 안구건조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라식계열의 수술보다는 라섹계열 수술을 선택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며, 초기부터 인공누액제제외에 항염증 제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누점폐쇄술 같은 치료법도 병행해 보는 것도 좋다.

특히 안구건조증이 심하다고 판단이 되면 수술 후 사용하는 안약의 경우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은 무방부제 제제의 항생제, 인공누액제제, 스테로이드의 안약 사용과 함께 수술전후에 안구건조증에 대해 적극적인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처치에도 불구하고 안구건조증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면 수술전후에 자가혈청법이나 자가혈청의 업그레이드라 할 수 있는 PRP(혈소판 풍부 혈장)를 이용한 PRP라섹 수술이 일반라섹보다 안구건조증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라섹수술이 통증이 동반된다는 이유로 인해 라식계열의 수술을 선호하지만 기존에 사용되었던 자가혈청 라섹보다 업그레이드 된 PRP라섹수술의 도입으로 인해 통증완화와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라식 계열 수술보다는 PRP라섹 수술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도움말: 연수늘밝은안과 김선후 원장

연수늘밝은안과 개요
연수 늘밝은 안과는 인천 연수구 동춘동에 위치한 안과로서 고객을 위한 4대 이념 목표인 믿음, 미래, 노력, 자부심을 목표로 최고가 되기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안과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본원은 라식, 라섹과 같은 시력교정수술을 물론 백내장, 녹내장, 망막병증과 일반 안질환을 진료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력교정수술은 안전을 가장 우선하여 무난한 시력을 드리기 보다는 만족한 시력을 드리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brightlasik21.co.kr

연락처

연수늘밝은안과
검안기획팀장 김규호
032-815-7626~7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