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교정술에도 녹색바람”

서울--(뉴스와이어)--시력이 나쁜 사람들이 ‘안경’ 없이는 아무것도 못했던 시절, 어린나이에 안경을 쓰게 되는 아이들을 보면 부모들은 안쓰럽기 그지없었다. 평생을 써야하는 안경을 마치 ‘난치병’에 가깝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학계의 빠른 발전은 다양한 시력교정술을 도입해 안경 없이는 현대판 ‘심봉사’에 다름없었던 사람들의 개안에 도움을 주고 있다.

국내에 가장 대중화 된 시력교정술은 ‘라식’이다. 라식의 수술방법은 각막 중간을 미세한 칼로 절개해 마치 얇게 포를 뜨듯 각막절편을 만든 다음, 이 절편을 젖힌 뒤 남아있는 각막에 레이저를 조사해 필요한 도수만큼 깎는 방법이다. 그리고 다시 이 각막절편을 제자리에 위치시키게 된다.

문제는 어느 수술이나 피할 수 없는 부작용이다. 우선 각막절편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드물지만 각막절편 밑이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해 감염이라도 된다면 치료가 어려워진다. 여기에 염증으로 인해 도리어 심한 시력저하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다시 근시로 퇴행될 수도 있고 각막을 절제하면서 각막신경들이 손상되어 추후 안구건조증의 위험도 있다. 무엇보다도 한번 깎아낸 각막 조직은 원상회복이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가장 큰 문제점이다.

시력교정술에도 친환경 바람 ‘ICL’

그렇다면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시력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술은 없을까? 최근 많은 전문가들이 ICL을 권하고 있다. ICL(Implantable Contact Lens, Implantable Collamer Lens)은 눈 안에 렌즈를 삽입해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이다.

ICL은 생체친화적인 소재인 collamer로 만든 렌즈를 3mm 크기의 각막절개를 통해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로 라식처럼 각막 전체를 레이져로 깎아버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막조직의 손상이 없고, 잘못되더라도 삽입된 수정체를 제거해 버리기만 하면 수술전의 눈 상태로 회복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아울러 근시가 너무 심하거나 각막이 얇아서 라식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최근에 많이 알려진 아벨리노각막이상증과 같은 유전질환인 경우는 라식수술이 절대금기이지만 이런 사람들도 ICL수술은 가능하다. 전문의에 따르면 아무리 많은 세월이 흘러도 근시로 퇴행되는 경우가 없으며 각막신경의 손상이 없어서 안구건조증에 대한 우려도 없다.

물론 이 세상에서 완벽한 수술이 없듯이 ICL 또한 부작용은 있을 수 있다. 가령 삽입한 렌즈의 크기가 맞지 않는다든가 렌즈에 의해서 백내장, 혹은 안압이 상승하는 부작용이 우려되기도 하지만 발생빈도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쨌든 시력교정술은 안전이 최우선이다. 검사가 잘못되거나 시술 중 의사의 실수, 감염 등에 의해서 안 좋은 결과가 생길 수 있는 여지는 항상 존재한다. 환자들이 부작용을 대비해 원상회복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꼼꼼히 따져봐야할 대목이다.

웹사이트: http://www.saeyan.com/

연락처

새얀안과
02-735-3121
www.noon1004.co.kr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