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정보화수준 5년전에 비해 크게 향상

서울--(뉴스와이어)--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는 취약계층 1만5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8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08.9~12월)‘ 결과 취약계층 정보화수준은 68.0%로 처음 실태조사를 실시한 2004년 45.0%에 비해 23.0%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취약계층의 정보격차 지수는 2004년 55.0점에서 2008년 32.0점으로 23.0점이 개선되었으며, 인터넷 이용률은 24.9%에서 41.7%로 16.8%포인트, 가구당 PC 보유율은 48.7%에서 65.1%로 16.4%포인트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취약계층 약 1,610만 명의 41.6%에 해당하는 약 670만명이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 80%에 도달하였으며, 2004년 이후 5년간 약 331만명은 정보격차가 해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8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취약계층의 평균 인터넷 이용률은 41.7%(전년대비 1.6%포인트 상승)이며 저소득 54.6%, 장애인 51.8%, 장노년 35.6%, 농어민 35.2%로 연령이 많은 농어촌의 인터넷 이용률이 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의 평균 가구PC 보유율은 65.1%(전년대비 1.7%포인트 상승)로 장애인 71.0%, 저소득층 63.1%, 농어민 57.4%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은 일반국민의 89.7% 수준인 반면 정보역량 및 활용은 각각 45.7%, 53.1%로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격차 지수 구성요소 ≫
· 정보 접근격차 : 정보기기 보유·성능 및 컴퓨터·인터넷 접근 용이성 차이
· 정보 역량격차 : 컴퓨터·인터넷 사용능력 수준 차이
· 정보 활용격차 : 컴퓨터·인터넷 이용량, 일상생활 도움 및 활용정도 차이

행정안전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보화 취약계층별 특성에 적합한 정보 활용능력 제고 등 정책추진을 강화하는 한편 장애인·고령층·농어민·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을 2012년까지 전체국민 대비 75% 수준으로 향상시킬 예정이다.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맞춤형 인터넷 활용교육 및 의료·건강 등 다양한 콘텐츠 개발 강화를 중점 추진하고, 장애인의 인터넷 활용 촉진을 위해 웹 접근성 제고 및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지원을 확대하며, 정보접근 기반이 취약한 저소득 가구 및 다문화가정 등에 중고 PC 특별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정보화 수준이 낮은 농어민 및 고령층의 정보화교육을 지역 특성에 맞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안전행정부 개요
전자정부 운영, 민생치안, 재해 재난 관리, 건전한 지방자치제도 개선 및 지방재정 확립, 선거 국민투표, 공무원의 인사 및 복지, 행정조직의 관리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내무부에서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정부청사관리소, 국가기록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지방행정연수원, 이북5도위원회, 경찰위원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spa.go.kr

연락처

행정안전부 정보문화과 과장 이재천 02-2100-299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