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M&A 전문서 ‘M&A 커뮤니케이션 - 성공한 M&A, 실패한 M&A’ 출간
이즈음 M&A는 단순히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의 과정만이 아니라 기업의 새로운 경영방식이 되고 있다. 이 책은 M&A를 추진하고 합병 후 통합하는 주역은 사람이라는 데서 출발한다. M&A는 본질적으로 인간이 하는 일이며, 모든 준비와 절차 그리고 결과는 법규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간된 M&A관련 서적들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지식이 필요한 분야임에도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특히 외국 서적과 논문을 바탕으로 저술함으로써 우리의 현실과는 유리된 면이 적지 않았다. 특히 기존 도서들은 경영 리더십이나 협상학, M&A를 별도로 다루고 있지만, 이 책은 이를 통합, 기술적인 과정뿐만 아니라 M&A의 주체와 대상을 선정하고 절차를 진행하는 사람들의 행위까지도 초점을 맞추었다. 인수회사의 CEO도 피인수합병회사의 CEO도 사람이기 때문이며, 구조조정과 합병 후 통합 역시 시스템의 주체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IMF 이후 우리나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국제적 기준을 맞추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외국자본의 등장으로 국내 기업들을 향한 다양한 인수합병 시도가 행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기업에 대한 M&A는 사회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각 개인에게도 중대한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M&A는 개별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근로자들의 고용환경을 좌우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파장을 유발시키고 있다.
상생과 Win-Win의 결과를 기대하고 진행되는 M&A는 이제 생사를 건 기업운영의 한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더군다나 M&A는 이제 언론, 대학, 법인, 단체들에게도 상생의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충동적인 인수는 사전 준비 부족을 불러오고 인수 후 조직안정도 기하기 어려워 결국 모기업까지 어렵게 된다. 따라서 M&A 시장의 승자에게 기다리는 승자의 저주를 피하기 위한 사전 준비와 검토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이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대중소제조업의 경영자, 벤처기업의 관리자, M&A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독자들 모두에게 M&A의 가이드북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해내길 기대한다.
<주요 목차>
CHAPTER Ⅰ. 리더십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리더십 에센스/ 협상 리더십
CHAPTER Ⅱ. BUSINESS 협상
협상과 의사결정/ 협상전략/ 협상의 古典 36계/ 문화에 대한 이해
CHAPTER Ⅲ. M&A PROCESS
M&A 시장/ 기업분할/ 구조조정/ 기업가치평가/ 기업가치평가의 활용범위/
PMI (합병 후 통합 : Post Merger Integration)/ 성공적인 PMI를 위한 점검사항/
M&A 과정/ M&A 수단으로서의 PEF/ 외국의 M&A 현황
CHAPTER Ⅳ. BRAND EQUITY
Brand Equity/ Brand Identity/ Brand Leverage/ 브랜드 자산 평가 기준/
러브마크와 브랜드 리더십/ 브랜딩의 성공스토리
CHAPTER Ⅴ. M&A Case
일반적 M&A 사례/ 적대적 M&A 사례/ 2000년 이전 적대적 M&A 사례
CHAPTER Ⅵ. M&A 관련법률의 이해
M&A 법률 개관/ 절차의 공정성/ 공정거래 질서/ 공공산업 보호/ 특별법/ 자본시장통합법
CHAPTER Ⅶ. M&A 관련법률
<저자 및 감수자 소개>
⊙ 저자 : 김용수(金龍洙)
고려대학교 법학과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AICPA(미국공인회계사) 수료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Ph. D. Communication)
국회정책연구위원
경기 ECONOMY 21 편집주간
월간 IT ECONOMY 논설위원
경기도 경제단체연합회 사무총장
(주)인선 HS 대표이사
경희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KAIST 리더십센터 초빙교수(현)
저술 : 휴먼리더십(명진출판사, 2008)
⊙ 감수자 : 김용학(金龍學)
한양대학교 법학과
군법무관
국회의원
김용학 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
웹사이트: http://www.fkimedia.co.kr
연락처
FKI미디어 출판디자인실장 김영희 02-3771-0249
-
2012년 3월 26일 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