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겨울에 자주 나타나는 SAD(Seasonal Affective Disorder) 증상
가을에 남자들은 버버리 코트를 멋지게 걸치고 낙엽길을 걸으면서 상념에 잠기고 봄에 여자들은 화사한 옷을 꺼내입고 꽃길을 거니는 것이 각 계절의 이미지다.
하지만 ‘가을을 탄다’는 의미가 가을에 왠지 우울해지고 의욕이 떨어지는 것이라면 이건 남녀에 구분이 없이 오는 계절변화에 따른 증상이다.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시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식욕이 증가하고 잠이 늘어나고 기운이 없어지는 증상을 느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걸 '천고마비의 계절'이라고 하고 영어권에서는 이런 증상을 'winter blues'라고 하니 같은 증상을 두고 해석이 다르게 표현되기도 한다.
‘가을을 타는’ 것이 정도 이상으로 심해질 때는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계절성 정서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인 경우에는 단순 감정 변화가 아닌 우울증의 일종으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계절성 정서장애는 계절변화에 따라 일정하게 매년 순환하며 나타난다.
늦가을에서 겨울 사이에 나타났다가 봄에서 초여름 사이 일조량이 많아지는 시기에 다시 사라지는데, 초기에는 약한 증상이 나타났다가 계절이 진행될수록 증상도 진행된다.
간혹 여름시기에 나타나는 SAD도 있어 겨울에 나타나는 SAD는 'winter depression(겨울 우울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을, 겨울에 나타나는 SAD의 증상은 기분이 우울해지고 괜히 불안하기도 하고 의욕은 떨어지고 잠이 늘어난다. 식욕은 약간 증가해서 특히 초콜릿 같은 단음식이 당기고 체중이 늘고 활동은 적어지고, 집중이 어렵거나 기운이 없어진다.
이러한 증상들이 특별한 원인 없이 2년 연속 같은 계절에 나타나면 계절성 정서장애가 있다고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계절성 정서장애가 오는 이유는 아직까지 뚜렷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몸의 일중주기와 호르몬의 변화가 밤낮의 주기가 달라지는 계절의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일시적이긴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혼자서 회복되기 어려운 지경까지 정서장애가 진행될 수 있어요. 따라서 증상이 심해진다면 반드시 의사를 찾아가서 진단과 처방을 받는 것이 좋다.
가볍게라도 가을을 탄다면 우선 집과 사무실의 블라인드와 커튼을 걷고 햇빛이 잘 들도록 하고, 틈날 때마다 나가서 야외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산책을 하고 근처 공원에서 점심을 먹고 잠깐이라도 햇빛을 쬐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균형잡힌 식사를 하며 충분히 휴식을 취하면서 몸을 살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때 술보다는 가까이 있는 사람들과 차나 다과로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누며 시간을 보내는게 좋은데, 마음이 맞는 다면 여행을 함께 가는 것도 가을을 이겨내는 방법이다.
도움말 리셋클리닉
웹사이트: http://resetclinic.co.kr
연락처
(주)조인스엠 마케팅팀 백승협 02-511-0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