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84%, ‘최근1~2년 내 주변에서 납품비리 경험’...세계경영연구원 조사
“기업사회의 납품비리 얼마나 심각한가?” 설문에 참여한 CEO들 중 84%는 ‘최근 1~2년 사이에 납품비리를 경험하거나 주변인으로부터 그러한 상황을 전해 들었다’고 응답했다. 반면, ‘최근 1~2년 내 납품비리를 경험한 적이 없었다’고 응답한 CEO는 11%였다. (그래프 1)
‘최근 업무관련 납품비리 직접 (요구) 받았다’, CEO 과반수
최근 1~2년 사이 업무와 관련해 납품비리를 직접 요구 받은 CEO도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설문에 응답한 114명의 CEO중 총 52%의 CEO가 업무납품 관련 비리를 직접 요구 받았다. 납품과정과 관련해 ‘직접 비리를 요구 받은
CEO 63%, ‘기업사회에 만연돼 있는 비리는 심각한 수준이다’
CEO들은 기업사회의 투명도 수준을 어떻게 평가할까? 과반수인 63%의 CEO들은 우리기업 사회에 만연돼 있는 비리 수준이 ‘심각하다’ 고 평가했다.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19%)와 ‘다소 심각한 수준이다’(44%)를 합한 수치다. 이어, ‘다소 드물게 일어나는 수준이다’가 29%, ‘매우 드물게 일어나는 수준이다’가 6%를 기록했다. (그래프 3)
‘민간사회 비리가 공직사회와 비슷하거나 더 심각하다’ 59%
CEO 과반수는 ‘민간사회 비리가 공직사회와 비슷하거나 더 심각하다’고 응답했다(59%). 이는 비리가 만연되어 있는 공직사회와 비교해 보았을 때 민간사회의 납품비리 정도는 그와 상응하거나 ‘더 심각하다’는 의견이었다. ‘훨씬 더 심각하다’는 의견과 ‘어느 정도 더 심각하다’는 의견이 20% 였으며, ‘공직사회와 비슷한 수준이다’는 의견이 33%를 차지했다. ‘민간사회 비리가 덜 심각하다’고 응답한 의견은 36%였다. 한편,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의견은 4%였다. (그래프 4)
‘공직사회와 기업사회 비리척결 둘 다 만만치 않아’, CEO 40%
그렇다면 CEO들은 한국 사회의 비리척결 가능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할까? ‘공직사회와 기업사회의 비리척결 노력 중 어느 쪽이 더 어렵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둘 다 비슷한 수준이다’라고 응답한 CEO는 40%였다. 기업의 비리척결이 공직사회의 비리척결만큼 만만치 않다는 의견이다. ‘공직사회 비리척결이 훨씬 더 어렵다’는 의견은 35%, ‘어느 정도 더 어렵다’는 의견은 15%였다. 반면, ‘기업사회의 비리척결이 더 어렵다’고 인식한 CEO는 8%에 불과했다. (그래프 5)
설문은 누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나?
이번 설문은 제조, 서비스, 금융, 유통, IT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대상 CEO들의 기업 매출규모도 300억 원 미만 기업부터 2조원 이상의 기업까지 다양했다. 전문경영인(32%)과 기업오너(68%)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그래프 6, 7, 8)
IGM세계경영연구원 개요
IGM세계경영연구원은 2003년 설립부터 지금까지 20만 명이 넘는 CEO와 임직원의 리더십과 전문역량을 키우고 지식으로 기업의 전략실현과 성장을 돕는 국내 최고의 프리미엄 교육 전문 기관이다. 2019년 메타넷 그룹의 일원이 되어 '지식의 가치를 통해 세상을 이롭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꿈을 펼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igm.or.kr
이 보도자료는 IGM세계경영연구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