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33%, 공직자에게 사례한 적 있다”...세계경영연구원 조사
세계경영연구원(IGM, 이사장 전성철)이 지난 9월 20일부터 열흘간 CEO 114명에게 공직자들의 청렴도에 대해 물었다. “CEO들이 생각하는 정부 공직자들의 청렴도는?” 설문에 참여한 CEO들 중 33%는 최근 2~3년 사이에 업무와 관련해 공직자에게 일이 끝난 후에 ‘사후 사례를 한 적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가끔 있었다’는 30%, ‘자주 있었다’는 3%였다. 반면, 44%의 CEO들은 ‘사례한 적 없다’고 응답했다. ‘무응답’도 이례적으로 16%에 달했다. (그래프 1)
사례 이유는 '공무원 측이 사례해주기를 기대해서’, '고마워서 자발적으로' 응답이 반반
최근 2~3년 사이에 업무 관계로 만난 공직자에게 사후사례를 한 경험이 있는 CEO 38명에게 사후사례를 한 이유를 물었다. 공직자가 노골적, 또는 은유적으로 ‘기대를 보여서’ 사례한 경우와 ‘고마운 마음에 자발적으로’ 사례한 경우가 각각 41%를 차지했다. (그래프 1-1)
CEO 62% “공직자들 청렴하지 않다”
CEO들은 공직자들의 청렴도 수준을 어떻게 평가할까? 과반수 이상인 62%의 CEO들은 공직자들의 청렴도 수준을 ‘청렴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다소 청렴하지 않다’(40%)와 ‘매우 청렴하지 않다’(22%)를 합한 수치다. 이어, ‘다소 청렴하다’가 21%, ‘잘 모르겠다’가 16%를 차지했다. ‘매우 청렴하다’는 응답은 1%에 불과했다. (그래프 2)
청렴도 추세 '점차 청렴해지고 있다' 46% Vs. '과거 수준을 유지하는 정도' 44%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거쳐 이명박 정부에 이르기까지 공직자들의 청렴도 변화 추세를 물었다. 절반 가량인 46%의 CEO가 ‘점차 청렴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과거 수준을 유지하는 정도’라는 평가도 44%나 됐다. ‘오히려 점차 나빠지고 있다’는 의견도 6% 있었다. (그래프 3)
CEO 3명 중 1명, “업무로 만난 공직자에게 뇌물 요구 받은 적 있다”
CEO들은 업무 관계로 만난 공직자들에게 뇌물을 요구 받은 적이 있었을까? CEO 3명 중 1명은 최근 1년 사이에 노골적 또는 은유적으로 뇌물을 요구 받은 경험이 있었다. ‘가끔 있었다’(26%)와 ‘자주 있었다’(4%)를 합한 결과다. 45%의 CEO는 한 차례도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4명 중 1명 수준(25%)이었다. (그래프 4)
CEO 83%, 공직자 사명의식에 '불만족'
그렇다면, CEO들은 공직자들의 사명의식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CEO 83%는 공직자들의 사명의식에 불만족을 표시했다. ‘크게 부족한 수준’(29%)과 ‘만족스럽지 않지만 점차 나아지고 있다’(54%)고 평가한 응답을 더했다. 반면, 15%의 CEO들은 ‘비교적 만족한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매우 높은 수준’(6%), ‘높지 않지만 비교적 만족할 수준’(9%)을 포함한 결과다. (그래프 5)
공직자 해당분야 전문지식 수준 ‘우수’, 그러나 세계화 수준은 ‘미흡’
CEO들은 공직자들의 업무능력, 합리적 대화능력, 해당분야 전문지식 수준, 경영/경제상식 수준, 세계화 수준의 5개 항목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갖고 있을까? 전 항목 모두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꼽혔다. 5점 척도로 각 항목별 평균점수를 추산해 본 결과, 해당분야 전문지식이 5점 만점에 2.93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세계화 수준이 2.26점으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그밖에 합리성 2.89점, 업무능력 2.83점, 경영/경제상식 2.63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업무능력과 합리성, 해당분야 전문지식 수준은 ‘낮다’와 ‘높다’를 응답한 수가 비슷한 수준으로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당분야 외 경영/경제상식 수준은 CEO 38%가 ‘낮다’(매우 낮다 13%, 비교적 낮다 25%)로, 세계화 수준은 과반수 이상인 57%의 CEO가 ‘낮다’(매우 낮다 22%, 비교적 낮다 35%)로 응답해 상대적으로 수준이 쳐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표 1)
CEO 57%, 공직자 청렴도 향상 위해 '공개적 경쟁, 평가 등 기업 방식 도입 필요'
‘공직자 청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로는 가장 많은 57%의 응답자가 ‘기업 못지 않은 공개적 경쟁, 평가 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꼽았다. 다음으로 공직자 위법행위 전담 특별기관 설치, 위법행위 공직자에 대한 법적 처벌 강화 등 ‘강력한 제도적 조치’(30%)가 많았다. 반면, ‘중앙정부 주도의 청렴도 향상교육 확대 실시’(9%), ‘시, 도 및 자치기관 주도의 청렴도 향상교육 확대 실시’(3%) 등을 선택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교육을 통한 청렴도 향상보다는 공개적 경쟁과 제도적 조치 등 보다 강력한 방안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래프 6)
설문은 누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나?
이번 설문은 제조, 서비스, 금융, 유통, IT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대상 CEO들의 기업 매출규모도 300억 원 미만 기업부터 2조원 이상의 기업까지 다양했다. (그래프 7, 8)
IGM세계경영연구원 개요
IGM세계경영연구원은 2003년 설립부터 지금까지 20만 명이 넘는 CEO와 임직원의 리더십과 전문역량을 키우고 지식으로 기업의 전략실현과 성장을 돕는 국내 최고의 프리미엄 교육 전문 기관이다. 2019년 메타넷 그룹의 일원이 되어 '지식의 가치를 통해 세상을 이롭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꿈을 펼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igm.or.kr
연락처
세계경영연구원 홍보팀 홍미영 주임, 02-2036-8382,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IGM세계경영연구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