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4학년생이 국내 유수의 전문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 수상
신뢰성부문 우수논문상은 학계 1명, 산업계 1명에게 수여되는 것으로 학계의 경우 대부분 교수나 박사급 연구자가 수상했다. 실제로 지난해의 경우 우수논문상 8개 부문에서 신뢰성 부문을 제외하곤 모두 박사과정 연구원이나 교수가 수상했을 정도로 학부생의 수상은 이례적이다.
신뢰성분석연구센터(RARC, 센터장 곽계달 교수)는 신뢰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지식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고장분석이나 고장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기계·전기전자 제품의 수명예측 기법을 개발한다. 신뢰성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도 신뢰성센터의 몫이다. 이밖에 센터는 강좌개발 및 맞춤형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사업이나 국내·국제협력사업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이처럼 신뢰성연구의 전도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센터가 최근 학부생에 대한 졸업논문 지도 및 학회 논문 발표를 통해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졸업논문 작성 시 신뢰성 부문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 해마다 대한기계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이다.
신뢰성분석연구센터 기획부장 박찬섭 연구교수는 “신뢰성연구에 대한 씨앗을 뿌린다는 마음으로 학부생들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다”면서 “직접 실험실습을 통해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 신뢰성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뢰성분석연구센터(RARC, 센터장 곽계달 교수)는 연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논문 지도교수를 배정하고, 1월부터 매주 요일별로 모여 신뢰성 분석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이를 위해 본교는 곽계달(공과대·전자통신컴퓨터) 교수와 산업계에서 현장 경험이 풍부한 석·박사 책임연구원을 두고 해당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이후 3월부터 학생들 스스로 연구주제와 항목을 정하고 자신이 정한 주제에 대해 스터디를 진행한다. 해당 학생들은 이때부터 8월까지 날마다 연구센터에 나와 책임연구원에게 지도를 받는다. 데이터 분석과정이 끝나면 논문을 작성하고, 지도교수에게 제출하게 된다. 이후 통과된 논문들은 대한기계학회 추계 학술대회 신뢰성부문에 출품 돼 심사를 받는 것이다.
그 결과 지난 2006년 김병남(공과대·전자통신컴퓨터 석사과정) 군이 우수논문상을 수상했고, 2007년에는 이정현(공과대·전자통신컴퓨터 4) 군이 우수논문상을 받게 된 것이다. 이들은 현재 각각 LG전자와 현대중공업에 근무하면서 신뢰성기술과 관련된 업무도 맡고 있다.
박찬섭 연구교수는 “지금까지 교수나 박사급 연구원이 우수논문상을 받았고 학부생이 수상한 것은 본교가 처음”이라며 “논문 경험이 많고, 산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박사급 책임연구원들이 열심히 학생들은 지도한 것이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주목할 사항은 졸업을 앞둔 학부생을 대상으로 신뢰성기술에 대한 교육을 하는 곳은 한양대학교가 유일하다는 점이다. 센터의 또 다른 관계자는 “미국이 50년, 일본이 30년 전에 시작한 신뢰성분석을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에 시작했다”면서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고, 학부생뿐 아니라 일반 기업인을 대상으로도 교육을 펼쳐 지금까지 누적 수강자가 2만 7천여 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에 신뢰성센터는 지식경제부로부터 8년째 연구비 등 여러 가지 지원을 받고 있다.
신뢰성 기술은 왜 중요할까
같은 음식을 파는 각기 다른 음식점마다 맛이 다른 이유처럼 기업도 같은 제품을 만들어도 소비자의 선호가 다르기 마련이고, 초기 제품은 같지만 5년 이후 성능에는 차이가 난다. 기업들이 각기 보유하고 있는 품질에 대한 비결 역시 공유하지 않는다. 이처럼 품질을 결정하는 기술력이나 경험의 핵심기반이 되는 것이 바로 ‘신뢰성분석’이다.
신뢰성분석연구센터 김재중 책임연구원은 “한 마디로 품질의 영역이 달라졌다는 게 중요하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고객들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제조물배상책임보험(PL)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추세다. 제품의 수명을 늘리는 데 바탕이 되는 것이 바로 신뢰성 기술이다”고 설명했다.
한양대 신뢰성분석연구센터 개요
신뢰성분석연구센터는 국내 유일의 신뢰성 교육 및 산업체 신뢰성 애로 문제 자문기관이다.
웹사이트: http://www.rarc.or.kr
연락처
한양대학교 신뢰성분석연구센터 기획부장 박찬섭 연구교수(02-2282-1685, 011-236-6030),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양대 신뢰성분석연구센터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