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무산됐을 때, 장기금리는’
■ 6월 금통위, 기준금리 인하 불가의 이유
현재 물가 상승률이 충격적이고, 6월도 결코 낮지 않을 것이란 전망, 인플레 기대 지표인 생활물가나 개인서비스물가의 급등, 직전 1년 평균 상승속도 적용시 전년동월비 상승률의 5~6%대 도달 가능성이 기준금리 인하를 막고 있다. 유가나 환율 하락도 그 속도가 느려서, 지난 4월 금통위 수준까지 도달하기는 어렵게 됐다. 주요국 중앙은행 중에서 기준금리 인하 국가 보다 인상 국가가 압도적으로 많고, 인상 국가들과 비슷한 국내 경제 환경을 보면, 우리 정책금리 인하가 적절한 방향이 아니라는 판단을 가능케 한다.
■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무산됐을 때, 장기금리는?
장기금리는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우리는 기준금리 인하가 무산됐던 시기(2006년 10월~2007년 7월)의 국고채 3년물과 기준금리와의 스프레드를 현재 시점에 적용해 봤다. 다행히 중심선은 현재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은 5.4~5.5%, 상한선은 5.8~5.9%인 것으로 나왔다. 해당기간 평균 스프레드 40bp, 최대 스프레드 86bp를 적용한 결과다. 하지만, 평균은 이렇다 해도 기대가 무산된 직후 장기금리는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사이트: http://www.kiwoom.com
연락처
키움 채권리서치 유재호 02-3787-5283, 이메일 보내기